치환군의 계산을 함수적으로 파악해 본다

6189 단어 mathGroupTheory

치환 그룹의 계산 과정은 이해하기 어렵다.



치환군의 계산 과정은 알기 어려운 것은, 함수와 같은 것인데 기법이 그다지 함수적이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f(g(x)) 라고 쓰여지면, y=g(x)를 먼저 계산해, f(y)를 계산한다고 하는 것은, 지금까지의 방법을 답습해 식변형 할 수 있네요.

개요



(1 2 3)(2 4) ≠ (2 4)(1 2 3) 을 예로 함수적인 식변형으로 풀어본다.
σ, τ를 다음과 같이 정한다.
\sigma = (1 \,\,\, 2 \,\,\, 3) = \left(
  \begin{array}{ccc}
   1 & 2 & 3 & 4 \\
   2 & 3 & 1 & 4
  \end{array}
\right), \tau = (2 \,\,\, 4) = \left(
  \begin{array}{ccc}
   1 & 2 & 3 & 4 \\
   1 & 4 & 3 & 2
  \end{array}
\right)

그림 해 보면 이런 느낌으로 비 교환 가능합니다.



함수적으로 중복으로 표현식이 변형 된 예



이하, σ∘τ를 이미지의 부분을 그다지 생략하지 않고 써 보았다.
\begin{align*}
\sigma \circ \tau
&=
\left(
  \begin{array}{cccc}
   1 & 2 & 3 & 4 \\
   \sigma(\tau(1)) & \sigma(\tau(2)) & \sigma(\tau(3)) & \sigma(\tau(4))
  \end{array}
\right) \\
&=
\left(
  \begin{array}{cccc}
   1 & 2 & 3 & 4 \\
   \sigma\left(\left(\begin{array}{cccc} 1 & 2 & 3 & 4 \\ 1 & 4 & 3 & 2 \end{array}\right)(1)\right) &
   \sigma\left(\left(\begin{array}{cccc} 1 & 2 & 3 & 4 \\ 1 & 4 & 3 & 2 \end{array}\right)(2)\right) &
   \sigma\left(\left(\begin{array}{cccc} 1 & 2 & 3 & 4 \\ 1 & 4 & 3 & 2 \end{array}\right)(3)\right) &
   \sigma\left(\left(\begin{array}{cccc} 1 & 2 & 3 & 4 \\ 1 & 4 & 3 & 2 \end{array}\right)(4)\right)
  \end{array}
\right) \\
&=
\left(
  \begin{array}{cccc}
   1 & 2 & 3 & 4 \\
   \sigma(1) & \sigma(4) & \sigma(3) & \sigma(2)
  \end{array}
\right) \\
&=
\left(
  \begin{array}{cccc}
   1 & 2 & 3 & 4 \\
   \left(\begin{array}{ccc} 1 & 2 & 3 & 4 \\ 2 & 3 & 1 & 4 \end{array}\right)\left(1\right) &
   \left(\begin{array}{ccc} 1 & 2 & 3 & 4 \\ 2 & 3 & 1 & 4 \end{array}\right)\left(4\right) &
   \left(\begin{array}{ccc} 1 & 2 & 3 & 4 \\ 2 & 3 & 1 & 4 \end{array}\right)\left(3\right) &
   \left(\begin{array}{ccc} 1 & 2 & 3 & 4 \\ 2 & 3 & 1 & 4 \end{array}\right)\left(2\right)
  \end{array}
\right) \\
&=
\left(
  \begin{array}{ccc}
   1 & 2 & 3 & 4 \\
   2 & 4 & 1 & 3
  \end{array}
\right) \\
&= \{1 \mapsto 2, 2 \mapsto 4, 3 \mapsto 1, 4 \mapsto 3 \} \\
&= (1 \,\,\, 2 \,\,\, 4 \,\,\, 3) \\
\end{align*}

마찬가지로 τ ∘ σ 는 이런 느낌.
\begin{align*}
\tau \circ \sigma
&=
\left(
  \begin{array}{ccc}
   1 & 2 & 3 & 4 \\
   \tau(\sigma(1)) & \tau(\sigma(2)) & \tau(\sigma(3)) & \tau(\sigma(4))
  \end{array}
\right) \\
&=
\left(
  \begin{array}{ccc}
   1 & 2 & 3 & 4 \\
   \tau\left(\left(\begin{array}{ccc} 1 & 2 & 3 & 4 \\ 2 & 3 & 1 & 4 \end{array}\right)(1)\right) &
   \tau\left(\left(\begin{array}{ccc} 1 & 2 & 3 & 4 \\ 2 & 3 & 1 & 4 \end{array}\right)(2)\right) &
   \tau\left(\left(\begin{array}{ccc} 1 & 2 & 3 & 4 \\ 2 & 3 & 1 & 4 \end{array}\right)(3)\right) &
   \tau\left(\left(\begin{array}{ccc} 1 & 2 & 3 & 4 \\ 2 & 3 & 1 & 4 \end{array}\right)(4)\right)
  \end{array}
\right) \\
&=
\left(
  \begin{array}{ccc}
   1 & 2 & 3 & 4 \\
   \tau(2) & \tau(3) & \tau(1) & \tau(4)
  \end{array}
\right) \\
&=
\left(
  \begin{array}{ccc}
   1 & 2 & 3 & 4 \\
   \left(\begin{array}{cccc} 1 & 2 & 3 & 4 \\ 1 & 4 & 3 & 2 \end{array}\right)(2) &
   \left(\begin{array}{cccc} 1 & 2 & 3 & 4 \\ 1 & 4 & 3 & 2 \end{array}\right)(3) &
   \left(\begin{array}{cccc} 1 & 2 & 3 & 4 \\ 1 & 4 & 3 & 2 \end{array}\right)(1) &
   \left(\begin{array}{cccc} 1 & 2 & 3 & 4 \\ 1 & 4 & 3 & 2 \end{array}\right)(4)
  \end{array}
\right) \\
&=
\left(
  \begin{array}{ccc}
   1 & 2 & 3 & 4 \\
   4 & 3 & 1 & 2
  \end{array}
\right) \\
&= \{1 \mapsto 4, 2 \mapsto 3, 3 \mapsto 1, 4 \mapsto 2 \} \\
&= (1 \,\,\, 4 \,\,\, 2 \,\,\, 3) \\
\end{align*}

사의 집합으로 식 변형하는 예



1 → 2, 2-> 3, 3-> 1로 옮기는 함수를 (1 2 3) (x)라고 생각하고, (1 2 3) (1) = 2라든지, (람다 식처럼) 취급해 보았다 예.
덧붙여서 (1 2 3)의 예라면, 1, 2, 3 이외는 n -> n 와 같은 값으로 옮긴다.
\begin{aligned}
\tau \circ \sigma(X=\{1, 2, 3, 4\})
&= \{X=\{1, 2, 3, 4\} \mapsto \tau(\sigma(X=\{1, 2, 3, 4\}))\} \\
&= \{1 \mapsto \tau(\sigma(1)), 2 \mapsto \tau(\sigma(2)),
     3 \mapsto \tau(\sigma(3)), 4 \mapsto \tau(\sigma(4))\} \\
&= \{
     1 \mapsto (2 \,\,\, 4)((1 \,\,\, 2 \,\,\, 3)(1)),
     2 \mapsto (2 \,\,\, 4)((1 \,\,\, 2 \,\,\, 3)(2)),
     3 \mapsto (2 \,\,\, 4)((1 \,\,\, 2 \,\,\, 3)(3)),
     4 \mapsto (2 \,\,\, 4)((1 \,\,\, 2 \,\,\, 3)(4))
   \} \\
&= \{
     1 \mapsto (2 \,\,\, 4)(2),
     2 \mapsto (2 \,\,\, 4)(3),
     3 \mapsto (2 \,\,\, 4)(1),
     4 \mapsto (2 \,\,\, 4)(4)
  \} \\
&= \{1 \mapsto 4, 2 \mapsto 3, 3 \mapsto 1, 4 \mapsto 2 \} \\
&= (1 \,\,\, 4 \,\,\, 2 \,\,\, 3)
\end{aligned}

어디까지나 독자적인 쓰는 방법이므로, 이미지를 잡을 뿐의 이야기입니다만, (1 2 3)를 사의 집합으로서 사와 사의 합성이라고 파악하는 편이, 암기적으로 조작을 기억하는 것보다는 추상 이해가 된다고 생각한다 .

여담



당초, 군의 입문한 단계에서 치환군에 (형적인 의미로) 왠지 기분 나쁨을 느끼는 일이 있었다.
σ, τ 중의 숫자는 x -> y 와 같은 사사이지만, 첨자를 취급하고 있는 것 같다…

나중에 군작용이라는 페이지에 도착해 힘줄로 떨어졌다. 그룹 a, b ∈ G에 대해 a ∘ b가 아닌 첨자 집합 X = {1, 2, 3, 4}의 i ∈ X에 대해 a ∘ i와 같은 느낌. 유사한 예로는 다음과 같은 행렬이 있습니다. 전반의 행렬의 곱이 군의 세계의 곱. 뒤의 x, y가 무리가 아닌 무엇인가.
\begin{pmatrix}
\cos\theta_1 & -\sin\theta_1 \\
\sin\theta_1 & \cos \theta_1
\end{pmatrix}
\begin{pmatrix}
\cos\theta_2 & -\sin\theta_2\\
\sin\theta_2 & \cos \theta_2
\end{pmatrix}
\begin{pmatrix} x \\ y
\end{pmatrix}

좋은 웹페이지 즐겨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