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넬 회절을 분석하고 싶습니다.
배경
근접 노광을 이용한 패턴 형성을 최근 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광 강도가 신경이 쓰이기 시작했습니다. 조사해 보면,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이 이미 있는 모양.
이쪽을 그대로 사용해도 좋았습니다만, Excel 경유하고 싶지 않나, 계산 영역 더 분할하고 싶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과학 계산에 강하다고 듣는 Python으로 실장해 보기로 했습니다.
실장에 있어서는, 상기의 것을 참고로 하고 있습니다.
프레넬 회절이란?
슬릿 - 스크린 사이의 거리가 작을 때 발생하는 회절 현상입니다.
슬릿이 단일 직사각형 인 경우, 스크린상의 빛의 파동 $ U (P_n) $는 슬릿면의 빛의 파동 $ U (S_n) $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표현됩니다.
U(P_n)=\frac{U(S_n)}{2\mathrm{i}}\left[\int_{v_1}^{v_2}\exp\left(\frac{\pi v^2}{2}\mathrm{i}\right)dv\right]\left[\int_{w_1}^{w_2}\exp\left(\frac{\pi w^2}{2}\mathrm{i}\right)dw\right]
변수 변환은 다음과 같이 수행됩니다.
또한 화면상의 좌표를 $x$ 와 $y$ , 슬릿 개구부의 좌표를 $\xi$ 와 $\eta$ , 빛의 파장을 $\lambda$, 슬릿-스크린 사이의 거리를 $b$ 로 표시했습니다.
v = \sqrt{\frac{2}{\lambda b}}(\xi - x)
w = \sqrt{\frac{2}{\lambda b}}(\eta - y)
위의 적분을 풀려고 하면 귀찮은 녀석(프레넬 적분)이 나타납니다만, scipy.special
모듈을 사용하는 것으로 심슨 법칙을 준비하지 않고 끝난다고 합니다. 편리.
구현
※가바코드 주의보※
main.pyimport numpy as np
from scipy.special import fresnel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 露光条件の定義
WL = 0.365 # 波長(μm)
gap = 5 # スリット-スクリーン間の距離(μm)
INA = 0 # 光の広がり角度(rad)
X1 = -5 # 計算領域のX方向最小値(μm)
X2 = 5 # 計算領域のX方向最大値(μm)
Nx = 100 # 計算領域のX方向分割数
Y1 = -100 # 計算領域のY方向最小値(μm)
Y2 = 100 # 計算領域のY方向最大値(μm)
Ny = 200 # 計算領域のY方向分割数
Pr = 1 # スリット面の光の実数部
Pi = 0 # スリット面の光の虚数部
Px1 = -0.5 # 矩形パターンのX方向最小値(μm)
Px2 = 0.5 # 矩形パターンのX方向最大値(μm)
Py1 = -50 # 矩形パターンのY方向最小値(μm)
Py2 = 50 # 矩形パターンのY方向最大値(μm)
# 計算領域の作成
dx = (X2 - X1) / Nx
dy = (Y2 - Y1) / Ny
Xaxis = np.arange(X1, X2, dx)
Ysaxis = np.arange(Y1, Y2, dy)
Yaxis = np.c_[Ysaxis]
Isum = np.zeros((Ny, Nx))
# フレネル積分
def cal_f(t1, t2):
s1, c1 = fresnel(t1)
s2, c2 = fresnel(t2)
dif_s = s2 - s1
dif_c = c2 - c1
return dif_s, dif_c
# 光強度の計算
def cal_int(ox, oy):
fx1 = lambda x: np.sqrt(2 / (WL * gap)) * (Px1 - x - ox)
fx2 = lambda x: np.sqrt(2 / (WL * gap)) * (Px2 - x - ox)
fy1 = lambda y: np.sqrt(2 / (WL * gap)) * (Py1 - y - oy)
fy2 = lambda y: np.sqrt(2 / (WL * gap)) * (Py2 - y - oy)
vfx1 = np.vectorize(fx1)
vfx2 = np.vectorize(fx2)
vfy1 = np.vectorize(fy1)
vfy2 = np.vectorize(fy2)
vf_int = np.vectorize(cal_f)
asv, acv = vf_int(vfx1(Xaxis), vfx2(Xaxis))
asw, acw = vf_int(vfy1(Yaxis), vfy2(Yaxis))
ar = (acv * asw + asv * acw) / 2
ai = (asv * asw - acv * acw) / 2
ur = Pr * ar - Pi * ai
ui = Pr * ai + Pi * ar
li = (np.power(ur, 2) + np.power(ui, 2))
return li
# 光の広がりの考慮
i = -5
k = 0
while i <= 5:
j = -5
while j <= 5:
if i ** 2 + j ** 2 <= 25:
k += 1
Ox = i * gap * INA / 5
Oy = j * gap * INA / 5
Isub = cal_int(Ox, Oy)
Isum = Isum + Isub
j += 1
else:
j += 1
else:
i += 1
Iave = Isum / k
# グラフ描画
plt.rcParams['font.size'] = 18
plt.rcParams['font.family'] = 'sans-serif'
plt.tight_layout()
plt.imshow(Iave, extent=[X1, X2, Y1, Y2], aspect='auto', interpolation='nearest', cmap='jet')
plt.xlabel('x-position (μm)')
plt.ylabel('y-position (μm)')
plt.colorbar()
plt.clim(0, 1.0)
plt.grid(True)
plt.show()
시도
코드 기재의 조건으로, 슬릿-스크린 사이의 거리를 여러가지 바꾸어 슬릿 폭 1 μm의 노광 상태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0.1 μm]
[0.5 μm]
[1 μm]
[3 μm]
[5 μm]
1 μm 이후의 x 방향으로의 확산이 위험하네요. 중앙부의 강도도 상당히 떨어지고 있습니다.
프록시미티 노광은 어쨌든, 콘택트 노광에서도 하드 콘택트를 상당히 의식하지 않으면 엄격하다고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결론
이번은 단일 구형만이었습니다만, 임의의 패턴에 대해서도 앞으로 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Reference
이 문제에 관하여(프레넬 회절을 분석하고 싶습니다.), 우리는 이곳에서 더 많은 자료를 발견하고 링크를 클릭하여 보았다
https://qiita.com/te_te_/items/1ce322484a813e6717bf
텍스트를 자유롭게 공유하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 문서의 URL은 참조 URL로 남겨 두십시오.
우수한 개발자 콘텐츠 발견에 전념
(Collection and Share based on the CC Protocol.)
U(P_n)=\frac{U(S_n)}{2\mathrm{i}}\left[\int_{v_1}^{v_2}\exp\left(\frac{\pi v^2}{2}\mathrm{i}\right)dv\right]\left[\int_{w_1}^{w_2}\exp\left(\frac{\pi w^2}{2}\mathrm{i}\right)dw\right]
v = \sqrt{\frac{2}{\lambda b}}(\xi - x)
w = \sqrt{\frac{2}{\lambda b}}(\eta - y)
※가바코드 주의보※
main.py
import numpy as np
from scipy.special import fresnel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 露光条件の定義
WL = 0.365 # 波長(μm)
gap = 5 # スリット-スクリーン間の距離(μm)
INA = 0 # 光の広がり角度(rad)
X1 = -5 # 計算領域のX方向最小値(μm)
X2 = 5 # 計算領域のX方向最大値(μm)
Nx = 100 # 計算領域のX方向分割数
Y1 = -100 # 計算領域のY方向最小値(μm)
Y2 = 100 # 計算領域のY方向最大値(μm)
Ny = 200 # 計算領域のY方向分割数
Pr = 1 # スリット面の光の実数部
Pi = 0 # スリット面の光の虚数部
Px1 = -0.5 # 矩形パターンのX方向最小値(μm)
Px2 = 0.5 # 矩形パターンのX方向最大値(μm)
Py1 = -50 # 矩形パターンのY方向最小値(μm)
Py2 = 50 # 矩形パターンのY方向最大値(μm)
# 計算領域の作成
dx = (X2 - X1) / Nx
dy = (Y2 - Y1) / Ny
Xaxis = np.arange(X1, X2, dx)
Ysaxis = np.arange(Y1, Y2, dy)
Yaxis = np.c_[Ysaxis]
Isum = np.zeros((Ny, Nx))
# フレネル積分
def cal_f(t1, t2):
s1, c1 = fresnel(t1)
s2, c2 = fresnel(t2)
dif_s = s2 - s1
dif_c = c2 - c1
return dif_s, dif_c
# 光強度の計算
def cal_int(ox, oy):
fx1 = lambda x: np.sqrt(2 / (WL * gap)) * (Px1 - x - ox)
fx2 = lambda x: np.sqrt(2 / (WL * gap)) * (Px2 - x - ox)
fy1 = lambda y: np.sqrt(2 / (WL * gap)) * (Py1 - y - oy)
fy2 = lambda y: np.sqrt(2 / (WL * gap)) * (Py2 - y - oy)
vfx1 = np.vectorize(fx1)
vfx2 = np.vectorize(fx2)
vfy1 = np.vectorize(fy1)
vfy2 = np.vectorize(fy2)
vf_int = np.vectorize(cal_f)
asv, acv = vf_int(vfx1(Xaxis), vfx2(Xaxis))
asw, acw = vf_int(vfy1(Yaxis), vfy2(Yaxis))
ar = (acv * asw + asv * acw) / 2
ai = (asv * asw - acv * acw) / 2
ur = Pr * ar - Pi * ai
ui = Pr * ai + Pi * ar
li = (np.power(ur, 2) + np.power(ui, 2))
return li
# 光の広がりの考慮
i = -5
k = 0
while i <= 5:
j = -5
while j <= 5:
if i ** 2 + j ** 2 <= 25:
k += 1
Ox = i * gap * INA / 5
Oy = j * gap * INA / 5
Isub = cal_int(Ox, Oy)
Isum = Isum + Isub
j += 1
else:
j += 1
else:
i += 1
Iave = Isum / k
# グラフ描画
plt.rcParams['font.size'] = 18
plt.rcParams['font.family'] = 'sans-serif'
plt.tight_layout()
plt.imshow(Iave, extent=[X1, X2, Y1, Y2], aspect='auto', interpolation='nearest', cmap='jet')
plt.xlabel('x-position (μm)')
plt.ylabel('y-position (μm)')
plt.colorbar()
plt.clim(0, 1.0)
plt.grid(True)
plt.show()
시도
코드 기재의 조건으로, 슬릿-스크린 사이의 거리를 여러가지 바꾸어 슬릿 폭 1 μm의 노광 상태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0.1 μm]
[0.5 μm]
[1 μm]
[3 μm]
[5 μm]
1 μm 이후의 x 방향으로의 확산이 위험하네요. 중앙부의 강도도 상당히 떨어지고 있습니다.
프록시미티 노광은 어쨌든, 콘택트 노광에서도 하드 콘택트를 상당히 의식하지 않으면 엄격하다고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결론
이번은 단일 구형만이었습니다만, 임의의 패턴에 대해서도 앞으로 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Reference
이 문제에 관하여(프레넬 회절을 분석하고 싶습니다.), 우리는 이곳에서 더 많은 자료를 발견하고 링크를 클릭하여 보았다
https://qiita.com/te_te_/items/1ce322484a813e6717bf
텍스트를 자유롭게 공유하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 문서의 URL은 참조 URL로 남겨 두십시오.
우수한 개발자 콘텐츠 발견에 전념
(Collection and Share based on the CC Protocol.)
이번은 단일 구형만이었습니다만, 임의의 패턴에 대해서도 앞으로 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Reference
이 문제에 관하여(프레넬 회절을 분석하고 싶습니다.), 우리는 이곳에서 더 많은 자료를 발견하고 링크를 클릭하여 보았다 https://qiita.com/te_te_/items/1ce322484a813e6717bf텍스트를 자유롭게 공유하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 문서의 URL은 참조 URL로 남겨 두십시오.
우수한 개발자 콘텐츠 발견에 전념 (Collection and Share based on the CC Protoc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