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 Range Sum of BST
- 이진 탐색 트리(BST)가 주어졌을 때 L 이상 R 이하의 값을 지닌 노드의 합을 구하라.
1. 재귀 구조 DFS로 브루트 포스 탐색 (288ms)
# Definition for a binary tree node.
# class TreeNode:
# def __init__(self, val=0, left=None, right=None):
# self.val = val
# self.left = left
# self.right = right
class Solution:
def rangeSumBST(self, root: TreeNode, low: int, high: int) -> int:
if not root:
return 0
return (root.val if low <= root.val <= high else 0 ) + \
self.rangeSumBST(root.left, low, high) + \
self.rangeSumBST(root.right, low, high)
<L 이상 R 이하 값을 지닌 노드의 합>
- 이 그림에서 L=7, R=15일 때 L 이상, R 이하인 노드는 자기 자신을 포함해 7, 10, 15이며, 이들의 합
sum()
은 32이다.
- 이 문제는 DFS로 전체를 탐색한 다음, 노드의 값이
L(low)
과R(high)
사이일 때만 값을 부여하고, 아닐 경우에는 0을 취해 계속 더해 나가면 쉽게 구할 수 있다.
2. DFS 가지치기로 필요한 노드 탐색 (224ms)
# Definition for a binary tree node.
# class TreeNode:
# def __init__(self, val=0, left=None, right=None):
# self.val = val
# self.left = left
# self.right = right
class Solution:
def rangeSumBST(self, root: TreeNode, low: int, high: int) -> int:
def dfs(node: TreeNode):
if not node:
return 0
if node.val < low:
return dfs(node.right)
elif node.val > high:
return dfs(node.left)
return node.val + dfs(node.left) + dfs(node.right)
return dfs(root)
-
DFS로 탐색하되 low, high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가지(Branch)를 쳐내는(Pruning) 형태로 탐색에서 배제하도록 구현한다.
-
이진 탐색 트리는 왼쪽이 항상 작고, 오른쪽이 항상 크다.
-
즉 현재 노드
root
가low
보다 작을 경우, 더 이상 왼쪽 가지는 탐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오른쪽만 탐색하도록 재귀 호출을 리턴한다. -
high
보다 클 경우, 오른쪽은 더 이상 탐색할 필요가 없으므로 왼쪽만 탐색하도록 재귀 호출을 리턴한다.
-
-
이렇게 불필요한 탐색을 줄여 최적화 할 수 있다.
3. 반복 구조 DFS로 필요한 노드 탐색 (220ms)
# Definition for a binary tree node.
# class TreeNode:
# def __init__(self, val=0, left=None, right=None):
# self.val = val
# self.left = left
# self.right = right
class Solution:
def rangeSumBST(self, root: TreeNode, low: int, high: int) -> int:
stack, sum = [root], 0
#스택 이용 필요한 노드 DFS 반복
while stack:
node = stack.pop()
if node:
if node.val > low:
stack.append(node.left)
if node.val < high:
stack.append(node.right)
if low <= node.val <= high:
sum += node.val
return sum
-
대부분의 재귀 풀이는 반복으로 변경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반복 풀이가 재귀 풀이에 비해 좀 더 직관적으로 이해가 쉽다.
-
마찬가지로 유효한 노드만 스택에 계속 집어 넣으면서,
low
와high
사이의 값인 경우 값을 더해 나간다.- 유효한 노드만 삽입하기 때문에 앞서 풀이인 가지치기기와 탐색 범위가 유사하며, 스택이므로 DFS와 동일한 탐색 구조를 띤다.
4. 반복 구조 BFS로 필요한 노드 탐색 (232ms)
# Definition for a binary tree node.
# class TreeNode:
# def __init__(self, val=0, left=None, right=None):
# self.val = val
# self.left = left
# self.right = right
class Solution:
def rangeSumBST(self, root: TreeNode, low: int, high: int) -> int:
stack, sum = [root], 0
#큐 연산을 이용해 반복구조 BFS로 필요한 노드 탐색
while stack:
node = stack.pop(0)
if node:
if node.val > low:
stack.append(node.left)
if node.val < high:
stack.append(node.right)
if low <= node.val <= high:
sum += node.val
return sum
-
BFS로 탐색해도 동일하다. 여기서는 스택을 단순히 큐 형태로 바꾸기만 하면, BFS를 구현할 수 있다.
- 파이썬의 데크를 사용해야 성능을 높일 수 있지만, 여기서는 편의상 간단히 리스트를 그냥
pop(0)
로 처리하는 정도로 다음과 같이 BFS를 구현하고,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정답을 풀이할 수 있다.
- 파이썬의 데크를 사용해야 성능을 높일 수 있지만, 여기서는 편의상 간단히 리스트를 그냥
-
이 문제는 애초에 테스트케이스의 입력값이 크지 않은 것 같다. 입력값이 매우 클 경우 브루트 포스와 가지치기의 속도 차이가 훨씬 더 커야하는데, 생각보다 그다지 크지 않다.
-
마찬가지로 반복 BFS 구현에서
pop(0)
은 O(n) 이기 때문에 DFS 구현과 속도 차이가 많이 나야 하는데 (pop()은 O(1)) 그리 많이 나지 않는다.- 만약 입력값이 매우 크다면 확연히 다른 성능 차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Author And Source
이 문제에 관하여(52. Range Sum of BST), 우리는 이곳에서 더 많은 자료를 발견하고 링크를 클릭하여 보았다 https://velog.io/@corone_hi/52.-Range-Sum-of-BST저자 귀속: 원작자 정보가 원작자 URL에 포함되어 있으며 저작권은 원작자 소유입니다.
우수한 개발자 콘텐츠 발견에 전념 (Collection and Share based on the CC Protoc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