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Web MVC 정리

29954 단어 BackendSpringBackend

Spring MVC

스프링을 이용한 mvc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할 파트

Previously...

MVC Pattern

장점단점
화면과 비즈니스 로직 분업 가능개발 과정이 복잡하여 초기 개발속도가 느림
영역별 개발로 확장성이 뛰어남초보자가 이해하고 개발하기 다소 어려움
표준화된 코드를 사용하여 공동작업에 유리
유지보수에 좋음

Model

  • 어플리케이션 상태의 캡슐화
  • 상태 쿼리에 대한 응답
  •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표현
  • 변경을 view 에 통지

View

  • literally view
  • 모델에게 업데이트 요청
  • 사용자 input을 컨트롤러에게 전달
  • 컨트롤러는 view를 선택하여 결과 페이지나 응답 페이지를 보여줌

Controller

  • 사용자 액션과 모델을 맵핑해줌
  • 응답에 대한 view를 선택

Spring MVC

특징

  • Spring은 DI 나 AOP같은 기능뿐만 아니라, Servlet 기반의 Web 개발을 위한 MVC Framework를 제공한다
  • Spring은 MVC 패턴과 Front Controller Pattern을 제공
  • Transaction 처리, DI, AOP 등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구성요소 (6가지)

DispatcherServlet, HandlerMapping, ViewResolver는 Spring이 내부적으로 해준다. 즉, DispatcherServlet, Handler Mapping, VIewResolver는 setting만 해주고 Controller 와 결과 화면만 만들면 된다!

1. DispatcherServlet (Front Controller)

  • Front controller 역할 수행
    (i) 모든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음
    (ii) Controller에게 요청 전달
    (iii) Controller 가 리턴한 결과를 view에 전달
  • Spring이 해줌

2. Handler Mapping

  • 클라이언트의 요청 url을 어떤 컨트롤러가 처리할지 결정 -> literally "Mapping"
  • DispatcherServlet은 하나 이상의 핸들러 매핑을 가질 수 있음 (like Mvc patterns in Servlet)
  • Spring이 해줌

3. Controller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한 뒤 Model 호출
  • 결과를 DispatcherServlet에게 전달

4. ModelAndView

  • Controller가 처리한 데이터 및 화면에 대한 정보를 보유한 객체

5. ViewResolver

  • Controller가 리턴한 뷰 이름을 기반으로, 컨트롤러의 결과페이지를 보여줄 view를 결정
  • Spring이 해줌

6. View

  • 응답화면 생성

Spring MVC 구현

Application 구현 과정

  1. web.xml에 DispatcherServlet 등록 및 Spring 설정파일 등록
  2. 설정파일에 HandlerMapping 설정
  3. Controller 구현 및 Context 설정 파일(servlet-context.xml)에 등록
  4. Controller와 JSP의 연결을 위해 View Resolver 설정
  5. JSP 코드 작성

[Tip] 좋은 디자인은 Controller가 많은 일을 하지 않고, Service에 처리를 위임하는 코드이다!

Step 1 : web.xml - DispatcherServlet 설정

<!-- Processes application requests -->
<servlet>
	<servlet-name>appServlet</servlet-name>
	<servlet-class>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servlet-class>
	<init-param>
		<param-name>contextConfigLocation</param-name>
		<param-value>/WEB-INF/spring/appServlet/servlet-context.xml</param-value>
	</init-param>
	<load-on-startup>1</load-on-startup>
</servlet>
		
<servlet-mapping>
	<servlet-name>appServlet</servlet-name>
	<url-pattern>/</url-pattern>
</servlet-mapping>

요소 설명

  1. <init-param>: <init-param>을 설정하지 않으면 <servlet-name>-servlet.xml파일에서 applicationContext 정보를 로드한다
  2. Spring Container : 설정 파일의 내용을 읽고 ApplicationContext 객체를 생성한다
  3. <url-pattern>: DispatcherServlet이 처리하는 URL Mapping Pattern을 정의
  4. <load-on-startup>1</load-on-startup>: 설정 시 WAS startup시 초기화 작업을 진행
    ** DispatcherServlet은 Servlet이기 때문에, 1개 이상의 DispatcherServlet을 설정할 수 있다!
    -> how ? servlet 테그를 여러개 생성하면 된다)

Step 2 : HandlerMapping

위의 디스패처서블릿에서, servlet-context.xml 파일을 읽어들이는데 이때 이 servlet-context.xml 안에서 맵핑을 할 수 있다.

<!-- Handles HTTP GET requests for /resources/** by efficiently serving up static resources in the ${webappRoot}/resources directory -->
	<resources mapping="/resources/**" location="/resources/" />

	<!-- Resolves views selected for rendering by @Controllers to .jsp resources in the /WEB-INF/views directory -->
	<beans:bean class="org.springframework.web.servlet.view.InternalResourceViewResolver">
		<beans:property name="prefix" value="/WEB-INF/views/" />
		<beans:property name="suffix" value=".jsp" />
	</beans:bean>
	
	<context:component-scan base-package="com.study.mvc" />

<resources mapping> : resrouce관련 처리
view resolver view resolver: jsp의 경로를 주는 요소이다.
위 코드에서 , prefix에는 /WEB-INF/views/ suffix에는 .jsp 를 붙이고 있다.
예를 들어 referencing할 주소가 login 이라고 한다면 login 앞에 prefix를 붙이고 뒤에 suffix가 되어서 /WEB-INF/views/login.jsp 라는 주소를 생성해낸다.
따라서, login만 설정해주면 주소를 알아서 생성해준다

Step 3 : Controller Class 작성

POJO : 옛날 자바 객체의 형태를 유지함

Previously,

Context 설정 파일에 Controller 등록

<beans:bean class="com.study.mvc.HomeController"/>
  • bean : 객체

Now,

@Controller 라는 annotation을 주게 되면 component-scan을 사용할 때 스캔된다.

@Controller
public class HomeController{
	
    private static final Logger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HomeController.class);
	
    	@RequestMapping(value="/", method = RequestMethod.GET)
  	public String home(Locale locale, Model model){
 	   logger.info("Wellcome home! The Client locale is : {} ",locale);
   	   model.addAttribute("message", "안뇽 스프링~");
       return index;
    }
    @AutoWired
    private Service service;
   @RequestMapping("/login") //login과 맵핑
   public ModelAndView login(@RequestParam Map<String, String> map){
   //code goes in here...
   }
}
  • @RequestMapping("") : 요청 URL mapping 정보를 설정. 클래스 타입과 메소드에 설정 가능
  • HTTP method : 같은 URL 요청에 대해 HTTP Method(GET, POST)에 따라 method = RequestMethod.GETmethod = RequestMethod.POST를 명시하여, 서로 다른 메소드를 mapping할 수 있다.

Example

@RequestMapping(value = "/index.do", method = RequestMethod.GET)
public String home1(Model model){
	model.addAttribute("message", "Get method was called " );
    return "index";
}
@RequestMapping(value = "/index.do", method = RequestMethod.POST)
public String home2(Model model){
	model.addAttribute("message", "Post method was called ");
    return "index";
}

Example

@RequestMapping(value = "/index.do", method = RequestMethod.GET)
public String home1(@RequestParam("name") String name, @RequestParam("age") int age, Model model){
	model.addAttribute("message", name+"님은 "+age+살인가요? );
    return "index";
}
  • 객체 전송 : Servlet의 ObjectDto.setName(), ObjectDto.setAge() 등등을 세팅하였다면, Spring Web Mvc에서는 form에 입력한 data를 자바 Bean 객체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배열도 가능하다)

Example

<h1>HTML 코드</h1>
<form method = "POST" action = "${root}/FAQ/post.do">
  제목: <input type = "text" name = "subject"><br>
  문의사항 : <textarea name = "question"></textarea><br>
  <input type = "submit" value = "질문하기">
// DTO 클래스
public class FAQDto{
	private void setSubject(String subject){ this.subject = subject; }
   	private void setQuestion (String question){ this.question = question; }
}

위 DTO 클래스에서 HTML/JSP의 form에서 세팅한 네임을 자동으로 매칭해주어 코드가 간단해진다.

//Controller 클래스
@Controller
@RequestMapping("/FAQ")
public class FAQController{
	@RequestMapping(value = "/post.do", method = RequestMethod.GET)
    public String write(){
    return "FAQ/post";
    }
    @RequestMapping(value = "/post.do", method = RequestMethod.POST){
    return "FAQ/Posted";
    }
}

Step 4 : View Resolver 설정

  • Controller와 response page을 연결하기 위해 view resolver을 설정해준다.
  • view resolver는 response page의 경로를 전달해준다
<beans: bean class = "com.study.mvc.HomeController"/>
<beans: bean class = "org.springframework.web.servlet.view.InternalResourceViewResolver">
  	<beans:property name = "prefix" value = "/WEB-INF/views/" />
  	<beans:property name = "suffix" value = ".jsp"/>
</beans: bean>

servlet-context.xml파일에서 view resolver을 설정해준다.
[Tip] Servlet에서는 "index.jsp"를 주었지만, 위에 suffix에서 .jsp를 이미 주고있기 때문에 .jsp를 주면 404 에러가 뜬다 !! 주의 !

Step 5 : JSP 코드 작성

//...생략 (index.jsp 파일)
<h3>hello</h3>
$ {message}

JSP 파일은 Servlet때와 마찬가지로 작성한다.
다만, 이제는 Controller에서 영역.setAttribute("message", "안녕~ 배고프다 ㅠㅠ"); 로 작성하는게 아닌 addAttribute를 사용한다.

좋은 웹페이지 즐겨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