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_4일차
- 학습목표
1. 리스트 이해하기
- 리스트
- 정의
- 파이썬의 자료구조 형태 중 하나
- 순서가 있는 수정가능한 객체의 집합
- 대괄호([])로 작성되어지며, 리스트 내부의 값은 콤마(,)로 구분
- 추가, 수정, 삭제 가능
- 예시
a = [] b = [1,2,3] c = ['My', 'name', 'is', 'SC'] d = [1,2,'My','name'] c = [1,2,['My','name']]
- 리스트[인덱스]
- 인덱스에 위치한 값 반환
list1 = [2,5,7,9,10] print(list1) print(list1[0]) print(list1[3]) print(list1[2]+list1[-1] - 출력 결과

- list2 = [1,2,3,['a','b','c']]일 경우 변수 temp에 ['a','b','c']를 저장하고 출력하시오
temp = list2[3] print(temp)- 출력 결과

- list2에서 문자 'b'만 뽑아서 출력하시오
print(list2[3][1]) - 출력 결과

- 인덱스에 위치한 값 반환
- 리스트[start 인덱스 : end 인덱스]
-
start 인덱스부터 end 인덱스 바로 전까지 값 반환(start <= x < end)
- 예시
list3 = [0,1,2,3,4] list3[1:3]- 실행 결과

list3[:2]- 실행결과

list3[3:]- 실행결과

-
- 리스트 더하기
- 예시
list4 = [1,2,3] list5 = [3,4,5,6] list4 + list5 - 실행결과

- 예시
- 리스트 추가하기(뒤에 추가)
list.append(값)-
예시

- f_apple 에는 list2의 '사과'가 들어간다.
- f_water 에는 list2의 '수박'이 들어간다.
- f_orrang 에는 list2의 '오렌지'가 들어간다.

- choice_list라는 리스트 생성을 한다.
- choice_list에서 f_apple가 들어있는 것을 추가한다.
- choice_list에서 f_apple 뒤에 f_water가 들어있는 것을 추가가 된다.
- choice_list에서 f_water 뒤에 f_orrange가 들어있는 것을 추가가 된다.
- 한번 더 append를 실행 하면 결과가 뒤에 추가가 되는 걸 알 수 있다.

-
- 리스트 추가하기(원하는 곳)
list.insert(인덱스 위치, 값)- 예시


- 원하는 곳에 리스트 값이 추가된 걸 확인할 수 있다.
- 예시
- 정의
Author And Source
이 문제에 관하여(Python_4일차), 우리는 이곳에서 더 많은 자료를 발견하고 링크를 클릭하여 보았다 https://velog.io/@dfdf/Python4일차저자 귀속: 원작자 정보가 원작자 URL에 포함되어 있으며 저작권은 원작자 소유입니다.
우수한 개발자 콘텐츠 발견에 전념
(Collection and Share based on the CC Protoc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