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TIL 02
💾슬라이싱
-처음부터나 끝까지 하는 경우 공백으로 비워도 상관 없다.
-처음부터 셀때는 인덱스가 0부터이지만, 끝에서부터 셀때는 인덱스가 -1부터이다.
jumin = "990120-1234567"
print("성별: " + jumin[7])
print("연: " + jumin[0:2]) # 0부터 2 직전까지 (0,1)
print("월: " + jumin[2:4])
print("일: " + jumin[4:6])
print("생년월일: " + jumin[:6]) # 처음부터 6 직전까지
print("뒤 7자리: " + jumin[7:]) # 7부터 끝까지
print("뒤 7자리 (뒤에서부터): " + jumin[-7:])
#맨 뒤에서 7번째부터 끝까지
💾문자열 처리 함수
-find에서는 원하는 값이 변수에 없을 때 -1이 출력된다. 반면, index에서는 원하는 값이 없을 때 오류를 출력하면서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python = "Python is Amazing"
print(python.lower()) # 문장을 소문자로 바꿔줌
print(python.upper()) # 문장을 대문자로 바꿔줌
print(python[0].isupper()) # 해당 문자열이 대문자인지 판별해줌 (bool타입)
print(len(python)) # 문자열의 길이를 알려줌
print(python.replace("Python", "Java")) # 문자열 안에 있는 값들을 바꿀 수 있음
index = python.index("n") # 어떤 문자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알려줌
print(index)
index = python.index("n", index + 1) # 해당 인덱스부터 위치 탐색을 시작함
print(index)
print(python.find("n")) # 해당 문자가 포함된 위치를 알려줌
print(python.find("Java")) # 원하는 값이 변수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1이 출력됨
print(python.count("n")) # n이 변수에서 총 몇번 등장하는지 갯수를 세어줌
💾문자열 포맷
-%s
로만 쓰면 정수형이든 문자형이든 상관없이 값출력이 가능하다.
-아래와 같이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 방법1
print("나는 %d살입니다." % 20)
print("나는 %s을 좋아해요" % "파이썬")
print("Apple은 %c로 시작해요." % "A") # 한글자만 받겠다!
print("나는 %s살입니다." % 20)
print("나는 %s색과 %s색을 좋아해요" % ("파란", "빨간"))
# 방법2
print("나는 {}살입니다.".format(20))
print("나는 {}색과 {}색을 좋아해요".format("파란", "빨간"))
print("나는 {0}색과 {1}색을 좋아해요".format("파란", "빨간"))
# format 뒤에 있는 값들을 0번째 1번째로 생각해서 각각 순번에 맞게 실행이 됨
print("나는 {1}색과 {0}색을 좋아해요".format("파란", "빨간"))
# 방법3
print("나는 {age}살이며, {color}색을 좋아해요".format(age = 20, color = "주황"))
print("나는 {age}살이며, {color}색을 좋아해요".format(color = "주황", age = 20))
# 방법4
age = 22
color = "검은"
print(f"나는 {age}살이며, {color}색을 좋아해요")
💾리스트
subway = ["유재석", "조세호","박명수"]
print(subway)
print(subway.index("조세호"))
#조세호가 몇번째 칸에 탔는가?
subway.append("하하") #하하가 다음 칸에 탐
print(subway)
subway.insert(1,"정형돈") # 유재석 조세호 사이에 태워봄
print(subway)
print(subway.pop()) # 맨 뒤에서부터 한명씩 꺼냄
print(subway)
print(subway.count("유재석")) # 같은 이름의 사람이 몇명 있는지 확인
-리스트는 정렬도 가능하다.
num_list = [5,2,4,3,1]
num_list.sort() # 순서대로 정렬해줌
print(num_list)
num_list.reverse() # 순서 뒤집기 가능
print(num_list)
num_list.clear() # 리스트 모두 지우기
print(num_list)
-다양한 자료형도 함께 사용이 가능하다.
ex) mix_list = ["조세호", 20, True]
-리스트 확장이 가능하다.
ex) num_list.extend(mix_list) -> [5,2,4,3,1,'조세호', 20, True]
💾사전 자료형
fruit = {3:"수박", 100:"딸기"} # 정수형을 통해 키 선언
# 사전 자료형 가져오는 법1
print(fruit[3])
print(fruit[100])
print(fruit.get(3))
fruit[5]
처럼 5라는 키가 없다면 Traceback 에러가 뜨면서 종료된다.
하지만 fruit.get(5)
로 작성하면 None이라고 뜨고 다음 문장을 실행한다.
fruit.get(5,"사용 가능")
이라고 작성하면 5라는 값을 가져오려고 시도하고, 있으면 5를 가져오고 없으면 '사용 가능'이라고 출력된다.
사전 자료형에 값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할 수 있다.
print(3 in fruit) # 3이라는 키가 fruit 안에 있는가? # True
print(5 in fruit) # False
정수 자료형 뿐만 아니라 string 자료형으로도 할 수 있다.
fruit = {"A-3":"수박", "B-100":"딸기"}
print(fruit["A-3"])
print(fruit["B-100"])
fruit["C-50"] = "밤" # 새로운 키 추가
fruit["A-3"] = "고구마" # 기존 키값 update
print(fruit)
del fruit["A-3"] # 키 삭제
print(fruit)
print(fruit.keys()) # key들만 출력
print(fruit.values()) # value들만 출력
print(fruit.items()) # key, value 쌍으로 출력
fruit.clear() # 모든 키 삭제
print(fruit)
💾튜플
-튜플은 add 기능 제공하지 X
-따라서 값을 추가하거나 변경은 불가하다.
-고정된 값에 대해서만 쓸 수 있고, 한번에 값 선언이 가능하다.
(name, age, hobby) = ("이지아",20,"코딩")
Author And Source
이 문제에 관하여([Python] TIL 02), 우리는 이곳에서 더 많은 자료를 발견하고 링크를 클릭하여 보았다 https://velog.io/@jiiyoung/Python-TIL-02저자 귀속: 원작자 정보가 원작자 URL에 포함되어 있으며 저작권은 원작자 소유입니다.
우수한 개발자 콘텐츠 발견에 전념 (Collection and Share based on the CC Protoc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