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sma - Database with Planet scale

프론트엔드에서 백엔드와 유사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표를 짤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가능하며, 프론트에서도 DB를 관리 할수 있게 된다.

이 글에서는 MySQL을 기준으로 사용하며, Prisma, Pscale을 다루게 된다.

그럼 왜 ? Prisma를 사용할까 ?

하나의 번역기 텍스트같은 역할을 해주기에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Prisma - Next-generation Node.js and TypeScript ORM for Databases

더 편리하게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node.js typescript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제공을 해준다.

npm install -D prisma

vscode의 Extension 으로 prisma 도 설치 하길 권유한다.

npx prisma init
으로 초기 설정파일을 만들어주어야 한다.

초기 설정 후 메세지

  1. Set the DATABASE_URL in the .env file to point to your existing database. If your database has no tables yet, read https://pris.ly/d/getting-started
  2. Set the provider of the datasource block in schema.prisma to match your database: postgresql, mysql, sqlite, sqlserver or mongodb (Preview).
  3. Run prisma db pull to turn your database schema into a Prisma schema.
  4. Run prisma generate to generate the Prisma Client. You can then start querying your database.
  1. 첫번째로 .env 파일에 있는 DATABASE_URL을 설정해주어야 한다.

  2. schema.prisma 파일에서 datasoucre의 provider를 설정한다.

// This is your Prisma schema file,
// learn more about it in the docs: https://pris.ly/d/prisma-schema

generator client {
  provider = "prisma-client-js"
}

datasource db {
  provider = "mysql"
  url      = env("DATABASE_URL")
}

model User {
  id        Int      @id @default(autoincrement())
  phone     Int?     @unique
  email     String?  @unique
  name      String
  avatar    String?
  createdAt DateTime @default(now())
  updatedAt DateTime @updatedAt
}

// 해당 provider를 mysql로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 그 외로 postgresql, mysql, sqlite, sqlserver or mongodb 가 있다.

// model User 를 생성하여 간단한 테이블 표를 만들수 있다.

@autoincrement :
기본 DB 내에 정수 형태의 시퀀스를 만들고 시퀀스에 따라 생성된 레코드의
ID 값에 증가된 값을 할당한다.

@id : 모델에 단일 필드 id를 지정한다.

@updateAt : 레코드가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시간을 자동으로 저장한다.
시간을 직접 지정하지 않으면 Prisma Client는 이 속성이 있는 필드의 값을 자동으로 설정한다.

? 사용한 이유는 꼭 있어야 하나 그 차이일뿐. 필수 요소가 아닌 경우 붙여준다.

PlanetScale

MySQL 과 호환되는 serverless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그러나 serverless 가 아닌이유는 Vitess라는 가장 스케일링이 뛰어난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이기 때문이다.

이제 Pscale 이라는것을 설치해야한다.

Scoop

https://github.com/planetscale/cli

두개의 링크를 보고서 window PowerShell 버전으로 설치하면 끝

pscale 명령어를 입력하면 저러한 창이 떠야한다.

PlanetScale CLI

PlanetScale은 데이터베이스 이상이며 CLI는 복잡한 명령 이상입니다. pscale 커맨드 라인을 사용하면 branch, deploy 요청 및 기타 PlanetScale 개념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scale database create carrot-market --region ap-northeast

위의 명령어을 통해 pscale의 하나의 repo 같은 데이터베이스 저장소를 만들수 있게 된다.

CLI의 명령일뿐 pscale에서 직접적으로 생성도 가능하다.

db 데이터를 prisma에 전달방법

npx prisma db push

그전에 env 파일에서 DATABASE_URL="mysql://127.0.0.1:11873/carrot-market” 해당된

pscale connect carrot-market 으로 connect을 하였다면, 성공적으로 자신의 서버 주소가 나오는데 그것을 env 파일의 url에 적음으로써 성공적인 연결을 할 수 있게 만들어 놓는다.

이를 통해 prisma schema 에서는 성공적으로 테이블이 짜여져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npx prisma studio

npx prisma studio

명렁어를 통해 해당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표를 직접적으로 수정할 수 있는 페이지가 열린다.

npm install @prisma/client

npm install @prisma/client
// libs/client.ts
import { PrismaClient } from "@prisma/client";

export default new PrismaClient();

위 파일을 생성 후 npx prisma generate 명렁어 입력

api/clinet-test.jsx

// libs/client.ts

import { PrismaClient } from "@prisma/client";

export default new PrismaClient();

위와 같이 설정을 하고 난후 해당 api라는 서버를 수정할수 있게 할 수 있다.

이것은 NextJS의 기능이며, NextJS는 풀스택을 요구하는 하나의 프레임워크이다.

// api/clinet-test.jsx
import { NextApiRequest, NextApiResponse } from "next";
import clinet from "../../libs/client";

export default async function handler(req: NextApiRequest, res: NextApiResponse) {
  await clinet.user.create({
    data: {
      email: "hi",
      name: "hi",
    },
  });
  res.json({
    ok: true,
  });
}

http://localhost:3000/api/client-test 로 들어가게 된다면, 해당 json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prisma studio 에서도 data의 파일이 추가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ORM이란

Object Relational Mapping, 객체-관계 매핑

  •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매핑(연결)해주는 것을 말한다.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클래스를 사용하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을 사용한다.
  • 객체 모델과 관계형 모델 간에 불일치가 존재한다.
  • ORM을 통해 객체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SQL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불일치를 해결한다.
  •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매핑—> Object 필드
  • 객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다룬다.
  • Persistant API라고도 할 수 있다.

장점

  • 객체 지향적인 코드로 인해 더 직관적이고 비즈니스 로직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도와준다.
  • ORM을 이용하면 SQL Query가 아닌 직관적인 코드(메서드)로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어 개발자가 객체 모델로 프로그래밍하는 데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선언문, 할당, 종료 같은 부수적인 코드가 없거나 급격히 줄어든다.
  • 각종 객체에 대한 코드를 별도로 작성하기 때문에 코드의 가독성을 올려준다.
  • SQL의 절차적이고 순차적인 접근이 아닌 객체 지향적인 접근으로 인해 생산성이 증가한다.
  • 재사용 및 유지보수의 편리성이 증가한다.
  • ORM은 독립적으로 작성되어있고, 해당 객체들을 재활용 할 수 있다.
  • 때문에 모델에서 가공된 데이터를 컨트롤러에 의해 뷰와 합쳐지는 형태로 디자인 패턴을 견고하게 다지는데 유리하다.
  • 매핑정보가 명확하여, ERD를 보는 것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다.
  • DBMS에 대한 종속성이 줄어든다.
  • 객체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SQL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때문에 RDBMS의 데이터 구조와 Java의 - 객체지향 모델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 대부분 ORM 솔루션은 DB에 종속적이지 않다.
  • 종속적이지 않다는것은 구현 방법 뿐만아니라 많은 솔루션에서 자료형 타입까지 유효하다.
  • 프로그래머는 Object에 집중함으로 극단적으로 DBMS를 교체하는 거대한 작업에도 비교적 적은 리스크와 시간이 소요된다.
  • 또한 자바에서 가공할경우 equals, hashCode의 오버라이드 같은 자바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고, 간결하고 빠른 가공이 가능하다.

단점

  • 완벽한 ORM 으로만 서비스를 구현하기가 어렵다.
  • 사용하기는 편하지만 설계는 매우 신중하게 해야한다.
  • 프로젝트의 복잡성이 커질경우 난이도 또한 올라갈 수 있다.
  • 잘못 구현된 경우에 속도 저하 및 심각할 경우 일관성이 무너지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 일부 자주 사용되는 대형 쿼리는 속도를 위해 SP를 쓰는등 별도의 튜닝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 DBMS의 고유 기능을 이용하기 어렵다. (하지만 이건 단점으로만 볼 수 없다 : 특정 DBMS의 - 고유기능을 이용하면 이식성이 저하된다.)
  • 프로시저가 많은 시스템에선 ORM의 객체 지향적인 장점을 활용하기 어렵다.
  • 이미 프로시저가 많은 시스템에선 다시 객체로 바꿔야하며, 그 과정에서 생산성 저하나 리스크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OEM 출처]https://gmlwjd9405.github.io/2019/02/01/orm.html

좋은 웹페이지 즐겨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