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 (12) : File System & Partition
File System
파일 저장 및 검색을 용이하게 하고 빠르게 읽고 사용 할 수 있으며 규칙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자 규칙이다.
리눅스 파일 시스템 종류
ext, ext2, ext3, swap, xfs, nfs, iso9660
디스크의 종류
IDE, SATA, SCSI, SAS
Boot Sector(block) & Block Group
-
Boot Sector
그림의 첫 줄에 해당한다. Block Group 0번에 위치해 있으며, MBR(Master Boot Record?)와 LILO, GRUB 같은 부트로더가 있다. -
Block Group
그림의 2번째 줄에 해당한다. Block 들의 모임이며 Super Block 및 기타 정보들이 저장되어있다. 여기서 Super Block 은 파일의 중요한 정보들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백업도 되어있다. 그 외 Inode(Data Block 포인터) 와 Data Block(메인자료) 가 중요하다고 한다.
파티션
하나의 물리적인 디스크를 여러개의 논리적인 디스크로 나누는 것이다. 리눅스 파티션은 Primary Partition + Extended Partion + Logical Partition 으로 구분된다. 디스크 하나당 주 파티션은 최대 4개까지 생성 가능하고 4개 이상의 파티션을 생성할 경우 확장과 논리 파티션이 필요하며, 최대 12개 까지 생성이 가능하다.
-
Disk 명칭
-
Linux Partition 명칭
-
fdisk
디스크 파티션을 설정하거나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 fdisk [option] [device]
option : -l (디스크 파티션 정보 확인)
- df(disk free)
파일 시스템 및 파티션 별 자세한 용량 확인
# df [option] [device]
option : -a(모든 파일시스템 출력), -i(inode 정보출력), -h(용량 읽기쉽게)
- du(disk usage)
특정 디렉토리나 파일의 용량 확인
# du [option] [filename]
option : -h(읽기쉽게), -s(요약 출력)
- mkfs (Make FileSystem)
파일 시스템을 생성한다.
# mkfs [option] [type] [device]
option : -t (파일 시스템 타입 지정)
- mount
특정 디렉토리에 파일 시스템을 탑재하는 것이다. 리눅스는 파일 단위로 장치를 관리하기 때문에 새롭게 만든 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생성한 파티션과 디렉토리를 연결해야한다.
# mount [device] [directory = mount point]
이후 df로 마운터를 확인할 수 있다.
- blkid(Block ID)
현재 시스템이 인식된 디스크의 UUID 를 출력한다.UUID :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특정 장치에 고유한 아이디를 부여하여 관리하는 방법으로 리눅스의 모든 장치에는 UUID가 부여되어있다.
blkid [device]
- /etc/fstab
리눅스가 부팅시 해당 파일을 읽어들여 마운트할 디스크와 정보를 매칭해서 마운트시킨다. 여기에 적용하지 않으면 재부팅시에 마운트가 풀린다.
필드는 6개로 구성되어있다.- 파일 시스템 장치명
- 마운트 포인트(device)
- 파일 시스템 종류
- 마운트 옵션
- 덤프 : 백업이 되어야 하는지 설정하는 필드 (0, 1)
- 무결성검사여부 : fsck에 의한 무결성 검사 우선순위를 정하는 옵션
<마운트 옵션>
<무결성검사여부>
0 : 무결성검사를 하지 않는다.
1 : 우선순위 1위를 뜻하며, 대부분 루트 부분에 설정해놓는다.
2 : 우선순위 2위를 뜻하고, 1위 이후에 검사를 진행한다.
Author And Source
이 문제에 관하여(Linux - (12) : File System & Partition), 우리는 이곳에서 더 많은 자료를 발견하고 링크를 클릭하여 보았다 https://velog.io/@lshn1007/Linux-12-File-System-Partition저자 귀속: 원작자 정보가 원작자 URL에 포함되어 있으며 저작권은 원작자 소유입니다.
우수한 개발자 콘텐츠 발견에 전념 (Collection and Share based on the CC Protoc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