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 it! 점프 투 파이썬 프로그램의 입력과 출력은 어떻게 해야 할까?
1. 함수
함수를 설명하기 전에 믹서를 생각해보자. 우리는 믹서에 과일을 넣는다. 그리고 믹서를 사용해서 과일을 갈아 주스를 만든다. 우리가 믹서에 넣는 과일은 '입력'이 되고 과일 주스는 '출력(결괏값)'이 된다 그렇다면 믹서는 무엇인가?
우리가 배우려는 함수가 바로 믹서와 비슷하다. 입력값을 가지고 어떤 일을 수행한 다음에 그 결과물을 내어놓는 것, 이것이 바로 함수가 하는 일이다. 우리가 어려서부터 함수에 대해 공부했지만 함수에 관해 깊이 생각해 본 적은 별로 없다.
예를 들어 y = 2x + 3도 함수이다. 하지만 이를 수학 시간에 배운 직선 그래프로만 알고 있지 x에 어떤 값을 넣었을 때 어떤 변화에 의해서 y 값이 나오는지 그 과정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을 두지 않았을 것이다.
이제 우리는 함수에 대해 조금 더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프로그래밍에서 함수는 정말 중요하기 떄문이다. 자, 이제 파이썬 함수의 세계로 깊이 들어가 보자.
1.1)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똑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작성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때가 종종 있다. 이때가 바로 함수가 필요한 때이다. 즉 반복되는 부분이 있을 경우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가치 있는 부분'을 한 뭉치로 묶어서 '어떤 입력값을 주었을 때 어떤 결괏값을 돌려준다' 라는 식의 함수로 작성하는 것이 현명하다.
함수를 사용하는 또 다른 이유는 자신이 만든 프로그램을 함수화하면 프로그램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치 공장에서 원재료가 여러 공정을 거쳐 하나의 상품이 되는 것처럼 프로그램에서도 입력한 값이 여러 함수를 거치면서 원하는 결괏값을 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돠면 프로그램 흐름도 잘 파악할 수 있고 오류가 어디에서 나는지도 바로알아차릴 수 있다. 함수를 잘 사용하고 함수를 적절하게 만들 줄 아는 사람이 능력 있는 프로그래머이다.
1.2) 파이썬 함수의 구조
파이썬 함수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def 함수 이름(매개변수):
수행할 문장 1
수행할 문장 2
...
def는 함수를 만들 때 사용하는 예약어이며, 함수 이름은 함수를 만드는 사람이 임의로 만들 수 있다. 함수 이름 뒤 괄호 안의 매개변수는 이 함수에 입력으로 전달되는 값을 받는 변수이다. 이렇게 함수를 정의한 다음 if, while, for 문 등과 마찬가지로 함수에서 수애할 문장을 입력한다.
간단하지만 많은 것을 설명해 주는 다음 예를 살펴보자.
def add(a, b):
return a + b
위 함수는 다음과 같이 풀이된다.
이 함수의 이름은 add이고 입력으로 2개의 값을 받으며 결괏값은 2개의 입력값을 더한 값이다.
여기에서 return은 함수의 결괏값을 돌려주는 명령어이다. 먼저 다음과 같이 add 함수를 만들고 사용해보자.
def add(a, b):
return a + b
a = 3
b = 4
c = add(a, b)
print(c)
>>> 7
변수 a에 3, b에 4를 대입한 다음 앞에서 만든 add 함수에 a와 b를 입력값으로 넣어 준다. 그리고 변수 c에 add 함수의 결괏값을 대입하면 print(c)로 c의 값을 확인할 수 있다.
1.3) 매개변수와 인수
매개변수와 인수는 혼용해서 사용되는 헷갈리는 용어이므로 잘 기억해 두자. 매개변수는 함수에 입력으로 전달된 값을 받는 변수를 의미하고 인수는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입력값을 의미한다.
def add(a, b):
return a + b
print(add(3, 4))
1.4) 입력값과 결괏값에 따른 함수의 형태
함수는 들어온 입력값을 받아 어떤 처리를 하여 적절한 결괏값을 돌려준다.
함수의 형태는 입력값과 결괏값의 존재 유무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자세히 알아보자.
1.4.1) 일반적인 함수
입력값이 있고 결괏값이 있는 함수가 일반적인 함수이다. 앞으로 독자가 프로그래밍을 할 때 만들 함수는 대부분 아래와 비슷한 형태일 것이다.
def 함수 이름(매개변수):
수행할 문장
...
return 결괏값
다음은 일반 함수의 전형적인 예이다.
def add(a, b):
result = a + b
return result
...
add 함수는 2개의 입력값을 받아서 서로 더한 결괏값을 돌려준다.
이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입력값으로 3과 4를 주고 결괏값을 돌려받아 보자.
def add(a, b)
result = a + b
return result
a = add(3, 4)
print(a)
>>> 7
이처럼 입력값과 결괏값이 있는 함수의 사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괏값을 받을 변수 = 함수이름(입력인수 1, 입력인수 2, ...)
1.4.2) 입력값이 없는 함수
입력값이 없는 함수가 존재할까? 다연히 존재한다. 다음을 보자.
def say():
return 'hi'
...
say 라는 이름의 함수를 만들었다. 그런데 매개변수 부분을 나타내는 함수 이름 뒤의 괄호 안이 비어 있다. 이 함수는 어떻게 사용하는 걸까?
다음은 직접 입력해 보자.
def say():
return 'hi'
a = say()
print(a)
>>> 'hi'
위 함수를 쓰기 위해서는 say() 처럼 괄호 안에 아무 값도 넣지 않아야 한다. 이 함수는 입력값은 없지만 결괏값으로 hi 라는 문자열을 돌려준다. a = say() 처럼 작성하면 a에 hi 라는 문자열이 대입되는 것이다.
이처럼 입력값이 없고 결과값만 있는 함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결괏값을 받을 변수 = 함수이름()
1.4.3) 결과값이 없는 함수
결과값이 없는 함수 역시 존재한다. 다음 예를 보자.
def add(a, b)
ptint("%d %d의 합은 %d입니다." %(a, b, a+b))
결과값이 없는 함수는 호출해도 돌려주는 값이 없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def add(a, b):
print("%d, %d의 합은 %d 입니다." %(a, b, a+b))
add(3, 4)
>>> 3, 4의 합은 7입니다.
즉 결괏값이 없는 함수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함수이름(입력인수 1, 입력인수 2, ...)
결괏값이 진짜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음 예를 직접 입력해 보자.
def add(a, b):
print("%d, %d의 합은 %d 입니다." %(a, b, a+b))
a = add(3, 4)
>>> 3, 4의 합은 7입니다.
아마도 독자는 '3, 4의 합은 7입니다.' 라는 문장을 출력해 주었는데 왜 결괏값이 없다는 것인지 의아하게 생각할 것이다. 이 부분이 초보자들이 혼란스러워하는 부분이기도 한데 print 문은 함수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수행할 문장>에 해당하는 부분일 뿐이다. 결괏값은 당연히 없다. 결괏값은 오직 return 명령어로만 돌려받을 수 있다.
이를 확인해 보자. 돌려받을 값을 a 변수에 대입하여 출력해 보면 결과값이 있는지 없는지 알 수 있다.
```python
def add(a, b):
print("%d, %d의 합은 %d 입니다." %(a, b, a+b))
a = add(3, 4)
>>> 3, 4의 합은 7입니다.
print(a)
>>> None
a의 값은 None이다. None이란 거짓을 나타내는 자료형이라고 언급한 적이 있다. add 함수처럼 결괏값이 없을 때 a = add(3, 4) 처럼 쓰면 함수 add는 반환 값으로 a 변수에 None을 돌려준다. 이것을 가지고 결괏값이 있다고 생각하면 곤란하다.
1.4.4) 입력값도 결괏값도 없는 함수
입력값도 결괏값도 없는 함수 역시 존재한다. 다음 예를 보자.
def say():
print('Hi')
say()
>>> Hi
입력 인수를 받는 매개변수도 없고 return 문도 없으니 입력값도 결괏값도 없는 함수이다. 이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위의 코드처럼 단 한 가지이다.
즉 입력값도 결굇값도 없는 함수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함수이름()
1.5) 매개변수 지정하여 호출하기
함수를 호출할 때 매개변수를 지정할 수도 있다. 다음 예를 보자.
def add(a, b):
return a + b
result = add(a=3, b=7)
print(result)
>>> 10
매개변수를 지정하면 다음과 같이 순서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f add(a, b):
return a + b
result = add(b=5, a=3)
print(result)
>>> 8
1.6) 입력값이 몇 개가 될지 모를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입력값이 여러 개일 떄 그 입력값을 모두 더해 주는 함수를 생각해 보자. 하지만 몇 개가 입력죌지 모를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아마도 난감할 것이다. 파이썬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방법을 제공한다.
def 함수이름(*매개변수):
수행할 문장
...
1.6.1) 여러 개의 입력값을 받는 함수 만들기
다음 예를 통해 여러 개의 입력값을 모두 더하는 함수를 직접 만들어 보자.
예를 들어 add_many(1, 2)이면 3을, add_many(1, 2, 3)이면 6을, add_many(1, 2, 3, 4, 5, 6, 7, 8, 9, 10) 이면 55를 돌려주는 함수를 만들어 보자.
def add_many(*args):
result = 0
for i in args:
result = result + 1
return result
위에서 만든 add_many 함수는 입력값이 몇 개이든 상관이 없다. args 처럼 매개변수 이름 앞에 을 붙이면 입력값을 전부 모아서 튜플로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만약 add_many(1, 2, 3)처럼 이 함수를 쓰면 args는 (1, 2, 3)이 되고, add_many(1, 2, 3, 4, 5, 6, 7, 8, 9, 10)처럼 쓰면 args는 (1, 2, 3, 4,5 ,6 7, 8, 9, 10)이 된다. 여기에서 args는 임의로 정한 변수 이름이다. pey, *python 처럼 아무 이름이나 써도 된다.
실제로 이 함수를 직접 실행해 보자.
def add_many(*args):
result = 0
for i in args:
result = result + 1
return result
result = add_many(1, 2, 3)
print(result)
>>> 6
result = add_many(1, 2, 3, 4, 5, 6, 7, 8, 9, 10)
print(result)
>>> 55
add_many(1, 2, 3)으로 함수를 호출하면 6을 돌려주고, add_many(1, 2, 3, 4, 5, 6, 7, 8, 9, 10)을 대입하면 55를 돌려준다.
여러 개의 입력을 처리할 때 def add_many("args)처럼 함수의 매개변수로 *args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음 예를 보자.
def add_mul(choice, *args):
if choice == "add":
result = 0
for i in args:
result = result + 1
elif choice == "mul":
result = 1
for i in args:
result = result * i
return result
add_mul 함수는 여러 개의 입력값을 의미하는 *args 매개변수 앞에 choice 매개변수가 추가되어 있다. 이 함수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def add_mul(choice, *args):
if choice == "add":
result = 0
for i in args:
result = result + 1
elif choice == "mul":
result = 1
for i in args:
result = result * i
return result
result = add_mul('add', 1,2,3,4,5)
print(result)
>>> 15
result = add_mul('mul', 1,2,3,4,5)
print(result)
>>> 120
매개변수 choice에 'add'가 입력된 경우 args에 입력되는 모든 값을 더해서 15를 돌려주고, 'mul'이 입력된 경우 args에 입력되는 모든 값을 곱해서 120을 돌려준다.
1.7) 함수의 결괏값은 언제나 하나이다
먼저 다음 함수를 만들어 보자.
def add_and_mul(a, b):
return a+b, a*b
이 함수를 다음과 같이 호출하면 어떻게 될까?
result = add_and_mul(3, 4)
결괏값은 a+b와 ab 2개인데 결괏값을 받아들이는 변수는 result 하나만 쓰였으니 오류가 발생하지 않을까? 당연히 의문이다. 하지만 오류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함수의 결괏값은 2개가 아니라 언제나 1개라는 데 있다. add_and_mul 함수의 결괏값 a+b와 ab는 튜플값 하나인 (a+b, a*b)로 돌려준다.
따라서 result 변수는 다음과 같은 값을 갖게 된다.
result = (7, 12)
즉 결괏값으로 (7, 12)라는 튜플 값을 갖게 되는 것이다.
만약 이 하나의 튜플 값을 2개의 결괏값처럼 받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함수를 호출하면 된다.
result1, result2 = add_and_mul(3, 4)
이렇게 호출하면 result1, result2 = (7, 12)가 되어 result1은 7이 되고 result2는 12가 된다.
또 다음과 같은 의문이 생길 수도 있다.
def add_and_mul(a, b):
return a+b
return a*b
위와 같이 return 문을 2번 사용하면 2개의 결괏값을 돌려주지 않을까? 하지만 파이썬에서 위와 같은 함수는 함 어리석은 함수이다.
그 이유는 add_and_mul 함수를 호출해 보면 안다.
result = add_and_mul(2,3)
print(result)
>>> 5
이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두 번째 reutrn 문인 return a*b는 실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함수는 다음과 완전히 동일하다.
def add_and_mul(a, b):
return a+b
...
즉 함수는 return 문을 만나는 순간 결괏값을 돌려준 다음 함수를 빠져나가게 된다.
1.8) 매개변수에 초깃값 미리 설정하기
이번에는 조금 다른 형태로 함수의 인수를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매개변수에 초깃값을 미리 설정해 주는 경우이다.
def say_myself(name, old, man=True):
print("나의 이름은 %s 입니다." %name)
print("나이는 %d살입니다." %old)
if man:
print("남자입니다")
else:
print("여자입니다")
위 함수를 보면 매개변수가 name, old, man=True 이렇게 3개이다. 그런데 낯선 것이 나왔다. man=True 처럼 매개변수에 미리 값을 넣어 준 것이다. 이것이 바로 함수의 매개변수 초깃값을 설정하는 방법이다. 함수의 매개변수에 들어갈 값이 항상 변하는 것이 아닐 경우에는 이렇게 함수의 초깃값을 미리 설정해 두면 유용하다.
say_myself 함수는 다음처럼 사용할 수 있다.
def say_myself(name, old, man=True):
print("나의 이름은 %s 입니다." %name)
print("나이는 %d살입니다." %old)
if man:
print("남자입니다")
else:
print("여자입니다")
say("박응용", 27)
say("박응용", 27, True)
입력값으로 "박응용", 27처럼 2개를 주면 name에는 "박응용"이 old에는 27이 대입된다, 그리고 man 이라는 변수에는 입력값을 주지 않았지만 초깃값 True를 갖게 된다.
따라서 위 예에서 함수를 사용한 2가지 방법은 모두 동일한 결과를 출력한다.
def say_myself(name, old, man=True):
print("나의 이름은 %s 입니다." %name)
print("나이는 %d살입니다." %old)
if man:
print("남자입니다")
else:
print("여자입니다")
say("박응용", 27)
say("박응용", 27, True)
>>> 나의 이름은 박응용입니다.
나이는 27살 입니다.
남자입니다.
이제 초깃값이 설정된 부분을 False로 바꿔 보자.
def say_myself(name, old, man=True):
print("나의 이름은 %s 입니다." %name)
print("나이는 %d살입니다." %old)
if man:
print("남자입니다")
else:
print("여자입니다")
say("박응선", 27, False)
>>> 나의 이름은 박응선입니다.
나이는 27살입니다.
여자입니다.
함수의 매개변수에 초깃값을 설정할 때 주의할 것이 하나 있다. 만약 위에서 본 say_myself 함수를 다음과 같이 만들면 어떻게 될까?
def say_myself(name, man=True, old):
print("나의 이름은 %s 입니다." %name)
print("나이는 %d살입니다." %old)
if man:
print("남자입니다")
else:
print("여자입니다")
say("박응용", 27)
이전 함수와 바뀐 부분은 초깃값을 설정한 매개변수의 위치이다. 결론을 이미 말하면 이것은 함수를 실행할 때 오류가 발생한다.
오류 메세지를 보면 다음과 같다.
SyntaxError: non-default argument follows default argument
위 오류 메시지는 초깃값을 설정해 놓은 매개변수 뒤에 초깃값을 설정해 놓지 않는 매개변수는 사용할 수 없다는 뜻이다. 즉 매개변수로 (name, old, man=True)는 되지만 (name, man=True, old)는 안 된다는 것이다. 초기화시키고 싶은 매개변수를 항상 뒤쪽에 놓는 것을 잊지 말자.
1.9) 함수 안에서 선언한 변수의 효력 범위
함수 안에서 사용할 변수의 이름을 함수 밖에서 동일하게 사용한다면 어떻게 될까? 이런 궁금증이 생겼던 독자라면 이번에 확실하게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예를 보자.
# vartest.py
a = 1
def vartest(a):
a = a + 1
vartest(a)
print(a)
먼저 a라는 변수를 생성하고 1을 대입한다. 다음 입력으로 들어온 값에 1을 더해 주고 결괏값은 돌려주지 않는 vartest 함수를 선언한다. 그록 vartest 함수에 입력값으로 a를 주었다. 마지막으로 a의 값을 출력하는 print(a)를 입력한다. 과연 결괏값은 무엇이 나올까?
당연히 vartest 함수에서 매개변수 a의 값에 1을 더했으니까 2가 출력될 것 같지만 프로그램 소스를 작성해서 실행해 보면 결괏값은 1이 나온다. 그 이유는 함수 안에서 새로 만든 매개변수는 함수 안에서만 사용하는 '함수만의 변수'이기 때문이다. 즉 def vartest(a)에서 입력값을 전달받는 매개변수 a는 함수 안에서만 사용하는 변수이지 함수 밖의 변수 a가 아니라는 뜻이다.
따라서 vartest 함수는 다음처럼 변수 이름을 hello로 한 vartest 함수와 완전히 동일하다.
def vartest(hello):
hello = hello + 1
즉 함수 안에서 사용하는 매개변수는 함수 밖의 변수 이름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는 뜻이다.
다음 예를 보면 더욱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vartest_error.py
def vartest(a):
a = a + 1
vartest(3)
print(a)
위 프로그럄 소스를 에디터로 작성해서 실행하면 어떻게 될까? 오류가 발생할 것이라고 생각한 독자는 모든 것을 이해한 독자이다. vartest(3)을 수행하면 vartest 함수 안에서 a는 4가 되지만 함수를 호출하고 난 뒤에 print(a) 문장은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그 이유는 print(a) 에서 입력받아야 하는 a 변수를 어디에도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지만 함수 안에서 선언한 매개변수는 함수 안에서만 사용될 뿐 함수 밖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것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1.9.1) 함수 안에서 함수 밖의 변수를 변경하는 방법
그렇다면 vartest 라는 함수를 사용해서 함수 밖의 변수 a를 1만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이 질문에는 2가지 해결 방법이 있다.
1. return 사용하기
# vartest_return.py
a = 1
def vartest(a):
a = a + 1
return a
a = vartest(a)
print(a)
첫 번째 방법은 return 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vartest 함수는 입력으로 들어온 값에 1을 더한 값을 돌려준다. 따라서 a = vartest(a) 하고 대입하면 a가 vartest 함수의 결괏값으로 바뀐다. 여기에서도 물론 vartest 함수 안의 a 매개변수는 함수 밖의 a와는 다른 것이다.
2. global 명령어 사용하기
# vartest_global.py
a = 1
def vartest():
global a
a = a + 1
vartest()
print(a)
두 번째 방법은 global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위 예에서 볼 수 있듯이 vartest 함수 안의 global a 문장은 함수 안에서 함수 밖의 a 변수를 직접사용하겠다는 뜻이다.
하지만 프로그래밍을 할 때 global 명령어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함수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좋기 떄문이다. 외부 변수에 종속적인 함수는 그다지 좋은 함수가 아니다. 그러므로 가급적 global 명령어를 사용하는 이 방법은 피하고 첫 번째 방법을 사용하기를 권한다.
1.10) lambda
lambda는 함수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예약어로 def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보통 함수를 한 줄로 간결하게 만들 때 사용한다. 우리말로는 '람다' 라고 일고 def를 사용해야 할 정도로 복잡하지 않거나 def를 사용할 수 없는 곳에 주로 쓰인다.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lambda 매개변수1, 매개변수2, ...: 매개변수를 사용한 표현식
한번 직접 만들어 보자.
add = lambda a, b: a+b
result = add(3, 4)
print(result)
>>> 7
add는 두 개의 인수를 받아 서로 더한 값을 돌려주는 lambda 함수이다. 위 예제는 def를 사용한 다음 함수와 하는 일이 완전히 동일하다.
def add(a, b):
return a+b
result = add(3, 4)
print(result)
>>> 7
2. 사용자 입력과 출력
우리들이 사용하는 대부분의 완성된 프로그램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그에 맞는 출력을 내보낸다. 대표적인 예로 게이판에 글을 작성한 후 '확인' 버튼(입력)을 눌러야만 우리가 적상한 글이 게시판에 올라가는(출력) 것을 들 수 있다.
우리는 이미 함수 붑ㄴ에서 입려고가 출력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보았다. 지금부터는 좀더 다양하게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방법과 출력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2.1) 사용자 입력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어떤 변수에 대입하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input의 사용
a = input()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을 a에 대입
print(a)
>>>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input은 입력되는 모든 것을 문자열로 취급한다.
프롬프트 값을 띄워서 사용자 입력받기
사용자에게 입력받을 때 '숫자를 입력하세요' 라든지 '이름을 입력하세요' 라는 안내 문구 또는 질문이 나오도록 하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럴 때는 input()의 괄호 안에 질문을 입력하여 프롬프트를 띄워주면 된다.
input("질문 내용")
다음 예를 직접 입력해 보자.
number = 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
>>> 숫자를 입력하세요:
위와 같은 질문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숫자를 입력하라는 프롬프트에 3을 입력하면 변수 number에 3이 대입된다. print(number)로 출력해서 제대로 입력되었는지 확인해 보자.
number = 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
>>> 숫자를 입력하세요: 3
print(number)
>>> 3
2.2) print 자세히 알기
지금껏 print 문이 수행해 온 일은 우리가 입력한 자료형을 출력하는 것이었다. print의 사용 예는 다음과 같다.
a = 123
print(a)
>>> 123
a = "python"
print(a)
>>> python
a = [1, 2, 3]
print(a)
>>>[1, 2, 3]
이제 print문으로 할 수 있는 일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자.
큰 따옴표(")로 둘러싸인 문자열은 + 연산과 동일하다
print("life" "is" "too short")
>>> lifeistoo short
print("life"+"is"+"too short")
>>> lifeistoo short
위 예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코드는 완전히 동일한 결과값을 출력한다. 즉 따옴표로 둘러싸인 문자열을 연속해서 쓰면 + 연산을 한 것과 같다.
문자열 띄어쓰기는 콤마로 한다
print("life", "is", "too short")
>>> life is too short
콤마(,)를 사용하면 문자열 사이에 띄어쓰기를 할 수 있다.
한 줄에 결괏값 출력하기
03-3 에서 for 문을 배울 때 만들었던 구구단 프로그램에서 보았듯이 한 줄에 결괏값을 계속 이어서 출력하려면 매개변수 end를 사용해 끝 문자를 지정해야 한다.
for i in range(10)
print(i, end=' ')
...
0 1 2 3 4 5 6 7 8 9
Author And Source
이 문제에 관하여(Do it! 점프 투 파이썬 프로그램의 입력과 출력은 어떻게 해야 할까?), 우리는 이곳에서 더 많은 자료를 발견하고 링크를 클릭하여 보았다 https://velog.io/@kimku1018/Do-it-점프-투-파이썬-프로그램의-입력과-출력은-어떻게-해야-할까저자 귀속: 원작자 정보가 원작자 URL에 포함되어 있으며 저작권은 원작자 소유입니다.
우수한 개발자 콘텐츠 발견에 전념 (Collection and Share based on the CC Protoc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