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존관계 자동 주입
✔ Inflearn 강의 수강 내용 정리글입니다!
다양한 의존관계 주입 방법
- 생성자 주입
- 수정자(setter) 주입
- 필드 주입
- 일반 메서드 주입
💡 생성자 주입
생성자를 통해 의존관계를 주입
- 생성자 호출 시점에 딱 한번 호출되는 것이 보장
- 불변, 필수 의존관계에 사용
@Autowired
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this.discountPolicy = discountPolicy;
}
생성자가 한 개일 경우 @Autowired 생략 가능!
💡 수정자(setter) 주입
수정자 메서드 setter를 통해 의존관계를 주입
- 선택, 변경 가능성이 있는 의존관계에 사용
@Autowired
public void setMemberReposit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Autowired
public void setDiscountPolicy(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this.discountPolicy = discountPolicy;
}
자바빈 프로퍼티 규약의 수정자 메서드 방식
➡ 필드의 값을 직접 변경하지 않고 setter, getter 메서드를 통해 값을 읽거나 수정하는 규칙
💡 필드 주입
필드에 바로 주입
- 코드가 간결하지만 외부에서 변경 불가능
- DI 프레임워크가 없으면 기능할 수 없다.
- 사용하지 않는 것을 추천!
@Autowired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private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일반 메서드 주입
일반 메서드를 통해 의존관계 주입
- 한번에 여러 필드를 주입받을 수 있다.
- 일반적으로 잘 사용하지 않는다.
@Autowired
public void init(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this.discountPolicy = discountPolicy;
}
옵션 처리
-
자동 주입 대상을 옵션으로 처리하는 방법
@Autowire(requires = false)
: 자동 주입할 대상이 없으면 수정자 메서드 자체가 호출 ❌@Autowired(required = false) public void setNoBean1(Member member) { System.out.println("setNoBean1 = " + member); }
org.springframework.lang.@Nullable
: 자동 주입할 대상이 없으면 null 입력@Autowired public void setNoBean2(@Nullable Member member) { System.out.println("setNoBean2 = " + member); }
Optional<>
: 자동 주입할 대상이 없으면 Optional.empty 입력@Autowired(required = false) public void setNoBean3(Optional<Member> member) { System.out.println("setNoBean3 = " + member); }
@Nullable, Oprional은 스프링 전반에 걸쳐서 사용
생성자 주입을 선택해라
💡 불변
- 대부분의 의존관계 주입은 애플리케이션이 종료시점까지 변하지 않는다.
- 수정자 주입은 메서드가 public으로 열려있기 때문에 누군가 수정이 가능하다.
💡 누락
- 생성자 주입을 사용하면 주입 데이터를 누락했을 때 컴파일 오류가 발생 ➡ IDE에서 어떤 값을 필수로 주입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 final 키워드
- 생성자 주입을 사용하면 필드에 final 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다. ➡ 생성자에서 값이 설정되지 않는 오류를 컴파일 시점에 막아준다.
컴파일 오류는 가장 빠르고 좋은 오류다!
📍 생성자 주입 방식은 프레임워크에 의존하지 않고 순수한 자바 언어의 특징을 잘 살리는 방법
📍 생성자 주입을 선택하고, 필수 값이 아닌 옵션이 필요하면 수정자 수입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Lombok과 최신 트랜드
- Lombok 라이브러리가 제공하는
@RequiredArgsConstructor
기능을 사용하면 final이 붙은 필드를 모아서 생성자를 자동으로 만들어준다.
@Component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조회 빈이 2개 이상
- @Autowired는 타입으로 조회
- 타입으로 조회하면 선택된 빈이 2개 이상일 때 오류 발생
NoUniqueBeanDefinitionException
- 하위 타입으로 지정할 수 있지만, DIP를 위배하고 유연성이 떨어진다.
@Autowired 필드명, @Qualifier, @Primary
💡 @Autowired 필드 명 매칭
@Autowired는 타입 매칭을 시도하고, 이때 여러 빈이 있으면 필드 이름, 파라미터 이름으로 빈 이름을 추가 매칭
@Autowired
private DiscountPolicy rateDiscountPolicy
필드 명 매칭은 타입 매칭을 시도하고 여러 빈이 추가로 있을 때 추가로 동작하는 기능
💡 Qualifier
추가 구분자를 붙여주는 방법(빈 이름을 변경하는 것은 아님)
@Component
@Qualifier("mainDiscountPolicy")
public class RateDiscountPolicy implements DiscountPolicy {}
@Autowired
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Qualifier("main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this.discountPolicy = discountPolicy;
}
직접 빈 등록시에도 @Qualifier를 동일하게 사용 가능
💡 @Primary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법, @Primary가 우선권을 가진다.
@Component
@Primary
public class RateDiscountPolicy implements DiscountPolicy {}
💡 @Primary, @Qualifier 활용
메인으로 사용할 빈에는 @Primary, 서브로 사용할 빈에는 @Qualifier를 붙이면 코드를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다.
@Primary보다 @Qualifier가 우선순위가 높다!
조회한 빈이 모두 필요할 때 - List & Map
전략 패턴 구현
static class DiscountService {
private final Map<String, DiscountPolicy> policyMap;
private final List<DiscountPolicy> policies;
public DiscountService(Map<String, DiscountPolicy> policyMap, List<DiscountPolicy> policies) {
}
public int discount(Member member, int price, String discountCode) {
}
}
Map<String, DiscountPolicy>
: map의 키에 스프링 빈의 이름을 넣어주고 그 값으로 조회한 모든 스프링 빈을 담는다.
List<DiscountPolicy>
: 타입으로 조회한 모든 빈을 담는다.
자동, 수동의 올바른 실무 운영 기준
💡 편리한 자동 기능을 기본으로 사용
- 관리할 빈이 많아서 설정 정보가 커지면 설정 정보를 관리하는 것 자체가 부담
- 자동 빈 등록을 해도 OCP, DIP를 지킬 수 있다.
💡 수동 빈 등록은 언제?
- 업무 로직 빈 : 컨트롤러, 서비스, 리포지토리 등이 업무 로직이다. 비지니스 요구사항을 개발할 때 추가하거나 변경된다.
- 기술 지원 빈 : 기술적인 문제나 공통 관심사(AOP)를 처리할 때 주로 사용된다.
➡ 업무 로직과 비교해서 수가 매주 적고, 애플리케이션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다. 또한 문제 발생 시 어디가 문제인지 파악하기 힘들다. 따라서 가급적 수동 빈 등록을 사용해서 명확하게 들어내는 것이 좋다.
💡 비지니스 로직 중 다형성을 활용할 때
- 수동 빈으로 등록하거나 특정 패키지에 같이 묶어두는 것이 좋다.
[출처 - inflearn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ED%95%B5%EC%8B%AC-%EC%9B%90%EB%A6%AC-%EA%B8%B0%EB%B3%B8%ED%8E%B8/dashboard
Author And Source
이 문제에 관하여(의존관계 자동 주입), 우리는 이곳에서 더 많은 자료를 발견하고 링크를 클릭하여 보았다 https://velog.io/@hnym1104/의존관계-자동-주입저자 귀속: 원작자 정보가 원작자 URL에 포함되어 있으며 저작권은 원작자 소유입니다.
우수한 개발자 콘텐츠 발견에 전념 (Collection and Share based on the CC Protoc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