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15 Git/Github - remote, push
지난 포스팅에 이어 commit한 파일들을 push까지 해보자.
Repository 생성
우선 Github에 로그인하여 새로운 repository를 만들어야한다. 우측 상단에 +버튼을 클릭 후, New repository를 클릭한다.
클릭을 했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것이다. 지금은 Repository name만 작성하고, Public상태로 생성할 것이다.
여기서 Repository name
은 저장소 이름을 설정하는 것이고 Description은 이 저장소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입력하면된다.
Public, Private
는 저장소를 공개할 건지 비공개할 것인지 설정하는 부분이다. Public을 하면 누구든지 내 저장소에 접근할 수 있지만 Private는 권한이 있어야 접근가능하다. 그리고 Public는 무료이고, Private는 유료이다.
조금 더 아래에는 README
파일을 만들건지 만들지 않을 것인지 체크하는 건데 README파일은 이 저장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 사용방법 등
을 적어 놓는 파일이다.
.gitignore
은 Track하지 않을 파일들 명단을 적어놓는 곳, license
는 이 소프트웨어의 라이엔스가 무엇인지 정할 수 있다.
Repository 메뉴
새로 만든 저장소의 모습이다. 여기에도 다양한 메뉴들이 있는데 무엇인지 잘 알고 사용하자.
왼쪽 상단에는 [이름]/test
으로 저장소 이름이 나와있다. 오른쪽 상단에는 Watch
, Star
, Fork
가 있다. Watch
는 이 저장소에 변화가 있을 때 알림이 오게 설정하는 것이고 Star
은 다른 사용자가 이 저장소를 좋아요를 누르는 것과 같다. 많이 눌리면 그만큼 관심이 많다는 뜻이다. Fork
는 다른 사용자의 저장소를 복사하여 내 저장소에 붙여넣기하는 기능이다.
그리고 Code
, Issues
, Pull request(PR)
, Projects
, Wiki
, Pulse
, Graph
, Settings
가 있다. 아직 써보지 않은 것들도 있는데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이 앞에 3개이다.
Code
는 현재 저장된 코드를 보여주고, Issues
는 남들이 내 저장소를 쓰는데 문제가 있을 경우 문제를 남기는 공간이다. PR
은 다른 사람들이 코드에 기여하거나 기여받으면서 더 좋은 코드를 짤 수 있게 해준다.
git remote
이제 우리는 Github에 생성한 저장소와 연결을 시켜야한다. 내 로컬환경에서 만든 test폴더가 remote 환경에 연결이 되어야 파일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git remote
명령어를 이용해 저장소 주소를 등록시켜준다.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이름]/test
만약 원격 저장소를 지우고 싶다면 git remote remove origin
명령어를 치면 된다.
git push
원격 저장소와 연결이 되었으니 우리가 commit했던 test.html파일을 push해보자.
git push origin master
push가 잘 되었다면 Github의 화면이 아래와 같이 바뀌어 있을 것이고, 다른 사람들이 나의 코드를 볼 수 있다.
정리
Github에서 Repository를 생성하고 git remote를 통해 원격 저장소와 연결을 해준다. 그리고 그 저장소에 push를 해주면 로컬에서 commit했던 파일들이 올라가고 다른 사람들이 내 코드를 볼 수도 있고 PR을 통해 서로 기여할 수 있다. 최근 PR기능을 통해 코드리뷰를 했었는데 작성한 코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눌 수 있어서 협업 시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했다.
Author And Source
이 문제에 관하여(TIL 15 Git/Github - remote, push), 우리는 이곳에서 더 많은 자료를 발견하고 링크를 클릭하여 보았다 https://velog.io/@wndud0647/TIL-15-GitGithub-3-remote-clone-push-pull저자 귀속: 원작자 정보가 원작자 URL에 포함되어 있으며 저작권은 원작자 소유입니다.
우수한 개발자 콘텐츠 발견에 전념 (Collection and Share based on the CC Protoc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