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99] 3주차 Restful API, package.json에 대해

6615 단어 항해99항해99

3주차에 node.js, express를 활용하여 간단한 게시판을 구현하였다.
https://github.com/dongsun1/hanghaeblog.git

구현하는 과정에서 현업에서 강조하는 Restful API와 package.json에 대해서 공부했다.

Restful API란?

"Reper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자원을 이름(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Restful API를 통해 요청이 수행될 때 Restful API는 리소스 상태에 대한 표현을 요청자에게 전송한다.
이 정보 또는 표현은 HTTP: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HTML, XLT 또는 일반 텍스트를 통해 몇 가지 형식으로 전송된다. JSON은 그 이름에도 불구하고 사용 언어와 상관이 없을 뿐 아니라 인간과 머신이 모두 읽을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널리 사용된다.

API가 Restful로 간주되려면 다음 기준을 따라야 한다.

  • 클라이언트, 서버 및 리소스로 구성되었으며 요청이 HTTP를 통해 관리되는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
  • 스테이트리스(stateless) 클라이언트-서버 커뮤니케이션: 요청 간에 클라이언트 정보가 저장되지 않으며, 각 요청이 분리되어 있고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는다
  • 클라이언트-서버 상호 작용을 간소화하는 캐시 가능 데이터
  • 정보가 표준 형식으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 요소 간 통합 인터페이서, 여기에 필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
    요청된 리소스가 식별 가능하며 클라이언트에 전송된 표현과 분리되어야 한다.
    수신한 표현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리소스를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이렇게 할 수 있는 충분한 정보가 표현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
    클라이언트에 반환되는 자기 기술적(self-descriptive) 메시지에 클라이언트가 정보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설명하는 정보가 충분히 포함되어야 한다.
    하이퍼미디어: 클라이언트가 리소스에 액세스한 후 하이퍼링크를 사용해 현재 수행 가능한 기타 모든 작업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 요청된 정보를 검색하는 데 관련된 서버(보안, 로드 밸런싱 등을 담당)의 각 유형을 클라이언트가 볼 수 없는 계층 구조로 체계화하는 계층화된 시스템.
  • 코드 온디맨드(선택 사항): 요청을 받으면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실행 가능한 코드를 전송하여 클라이언트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기능.

이처럼 Rest API는 따라야 할 기준이 있지만, 속도를 저하시키고 더 무겁게 만드는 XML 메시징, 빌트인 보안 및 트랜잭션 컴플라이언스처럼 특정 요구 사항이 있는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등의 규정된 프로토콜보다 사용하기 쉬운 것으로 간주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REST는 필요에 따라 구현할 수 있는 일련의 지침으로, 이를 통해 Rest API는 더 빨라지고 경량화되며 사물인터넷(IoT) 및 모바일 앱 개발에 가장 적합한 API가 된다.

package.json이란?

  • package.json 파일은 배포한 모듈 정보를 담고자 만들어졌다.
  • package.json 파일은 기본적으로 CommonJS의 명세를 충실히 따르고 있으며 JSON 형식의 파일이다.
  • 직접 작성할 수도 있고 npm init 명령을 통해서 자동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
	"name" : "test",
	"description" : "javascript's test programming.",
	"keywords" : ["util", "f", "server", "client", "browser"],
	"author" : "Goorm",
	"contributors" : [],
	"dependencies" : [],
	"repository" : {"type": "git", "url" : "git://gitbub.com/documentcloud/test.git" },
	"main" : "test.js",
	"version" : "1.1.6"
}

name

  • 프로젝트 이름으로, 가장 중요하다. 중앙 저장소에 배포할 때 version과 함께 필수 항목이다.
  • url로 사용되고, 설치할 때 디렉토리 이름이 되기 때문에 url이나 디렉터리에서 쓸 수 없는 이름을 사용하면 안 된다.
  • 또한, 이름에 node나 js가 들어가면 안 된다.
  • name은 214자보다 짧아야 하며, 점(.)이나 밑줄(_)로 시작할 수 없다.
  • 대문자를 포함해서는 안 되며, require() 함수의 인수로 사용되며 짧고 알기 쉬운 것으로 짓는 것이 좋다.

version

  • 프로젝트 버전을 정의힌다. 3단계 버전을 사용하며, - 로 태그 이름을 적을 수 있다.

description

  • 프로젝트 설명으로, 문자열로 기술한다.
  • npm search로 검색된 리스트에 표시되기 때문에 사람들이 패키지를 찾아내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keywords

  • 프로젝트를 검색할 때 참조되는 키워드이다.
  • description과 마찬가지로 npm search로 검색된 리스트에 표시된다.

homepage

  • 프로젝트 홈페이지 주소이다.
  • url 항목과는 다르며, url을 설정하면 예상치 못한 움직임을 하게 되므로 주의한다.

author

  • 프로젝트 작성자 정보로, 한 사람만을 지정한다. JSON 형식으로 name, email, url 옵션을 포함한다.

contributors

  • 프로젝트에 참여한 공헌자 정보로, 여러 사람을 배열로 지정할 수 있다.

repository

  • 프로젝트의 소스 코드를 저장한 저장소의 정보이다.
  • 소스 코드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프로젝트의 홈페이지 url을 명시해서는 안 된다.

scripts

  • 프로젝트에서 자주 실행해야 하는 명령어를 scripts로 작성해두면 npm 명령어로 실행 가능하다.
"scripts": {"start": "node server.js"}

config

  • 소스 코드에서 config 필드에 있는 값을 환경 변수처럼 사용할 수 있다.
"name": "foo",
"config": {
    "port": "8080"
}

private

  • 이 값을 true로 작성하면 중앙 저장소로 저장하지 않는다.
dependencies
  • 프로젝트 의존성 관리를 위한 부분이다. 이 프로젝트가 어떤 확장 모듈을 요구하는지 정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ackage.json에서 가장 많은 정보가 입력되는 곳이다.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때 이 내용을 참조하여 필요한 확장 모듈을 자동으로 설치한다.
    따라서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이 특정한 확장 모듈을 사용한다면 여기에 꼭 명시를 해주어야 한다.
  • 또한, npm install 명령은 여기에 포함된 모든 확장 모듈들을 설치하게 되어 있다.

devDependencies

  • 개발할 때만 의존하는 확장 모듈을 관리한다.

engine

  • 실행 가능한 노드 버전의 범위를 결정한다.

좋은 웹페이지 즐겨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