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iemaweb / javascript스터디 3

26419 단어 스터디스터디

1. 타입 변환과 단축 평가

타입 변환

  • 명시적 타입 변환(Explicit coercion), 타입 캐스팅(Type casting)
    var x = 10;
    var str = x.toString(); // 숫자를 문자열로 타입 캐스팅한다
    console.log(typeof str); // string
  • 암묵적 타입 변환(Implicit coercion), 타입 강제 변환(Type coercion)이라고 한다.
     var x = 10;
      var str = x + '';
      console.log(typeof str, str); // string 10
  • 타입 변환은 기존 값(위 예제의 경우, 변수 x의 값)을 직접 변경하지 않는다.
    • 암묵적 타입 변환에서는 변수 값을 재할당해서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표현식을 에러없이 평가하기 위해 기존 값을 바탕으로 새로운 타입의 값을 만들어 단 한번 사용하고 버린다.
  • 코드를 예측할 수 있어야 하기에 타입 변환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하도록 하자.

암묵적 타입 변환

  •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표현식을 평가할 때 문맥, 즉 컨텍스트(Context)를 고려하여 암묵적 타입 변환을 실행한다.

  • 암묵적 타입 변환이 발생하면 문자열, 숫자, 불리언과 같은 원시 타입 중 하나로 타입을 자동 변환한다.

  • 문자열 타입으로 변환

    •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문자열 연결 연산자 표현식을 평가하기 위해 문자열 연결 연산자의 피연산자 중에서 문자열 타입이 아닌 피연산자를 문자열 타입으로 암묵적 타입 변환한다.
    • 템플릿 리터럴의 문자열 인터폴레이션(String Interpolation)은 표현식의 평가 결과를 문자열 타입으로 암묵적 타입 변환한다.
    // 숫자 타입
    0 + ''              // "0"
    -0 + ''             // "0"
    1 + ''              // "1"
    -1 + ''             // "-1"
    NaN + ''            // "NaN"
    Infinity + ''       // "Infinity"
    -Infinity + ''      // "-Infinity"
    // 불리언 타입
    true + ''           // "true"
    false + ''          // "false"
    // null 타입
    null + ''           // "null"
    // undefined 타입
    undefined + ''      // "undefined"
    // 심볼 타입
    (Symbol()) + ''     // TypeError: Cannot convert a Symbol value to a string
    // 객체 타입
    ({}) + ''           // "[object Object]"
    Math + ''           // "[object Math]"
    [] + ''             // ""
    [10, 20] + ''       // "10,20"
    (function(){}) + '' // "function(){}"
    Array + ''          // "function Array() { [native code] }"
    
    
  • 숫자 타입으로 변환

    •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산술 연산자 표현식을 평가하기 위해 산술 연산자의 피연산자 중에서 숫자 타입이 아닌 피연산자를 숫자 타입으로 암묵적 타입 변환한다
    •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비교 연산자 표현식을 평가하기 위해 비교 연산자의 피연산자 중에서 숫자 타입이 아닌 피연산자를 숫자 타입으로 암묵적 타입 변환한다.
    • 연산자를 숫자 타입으로 변환할 수 없는 경우는 산술 연산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NaN을 반환한다.
      // 문자열 타입
      +''             // 0
      +'0'            // 0
      +'1'            // 1
      +'string'       // NaN
      // 불리언 타입
      +true           // 1
      +false          // 0
      // null 타입
      +null           // 0
      // undefined 타입
      +undefined      // NaN
      // 심볼 타입
      +Symbol()       // TypeError: Cannot convert a Symbol value to a number
      // 객체 타입
      +{}             // NaN
      +[]             // 0
      +[10, 20]       // NaN
      +(function(){}) // NaN
  • 불리언 타입으로 변환

    •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제어문의 조건식을 평가 결과를 불리언 타입으로 암묵적 타입 변환한다.
      •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불리언 타입이 아닌 값을 Truthy 값(참으로 인식할 값) 또는 Falsy 값(거짓으로 인식할 값)으로 구분한다.
    • falsy 값: false, undefined, null, 0, -0, NaN, ""
    • truthy 값: falsy값 이외의 값

명시적 타입 변환

  • 문자열 타입으로 변환하는 방법
    • String 생성자 함수를 new 연산자 없이 호출하는 방법
    // 숫자 타입 => 문자열 타입
    console.log(String(1));        // "1"
    console.log(String(NaN));      // "NaN"
    console.log(String(Infinity)); // "Infinity"
    // 불리언 타입 => 문자열 타입
    console.log(String(true));     // "true"
    console.log(String(false));    // "false"
    • Object.prototype.toString 메소드를 사용하는 방법
    // 숫자 타입 => 문자열 타입
    console.log((1).toString());        // "1"
    console.log((NaN).toString());      // "NaN"
    console.log((Infinity).toString()); // "Infinity"
    // 불리언 타입 => 문자열 타입
    console.log((true).toString());     // "true"
    console.log((false).toString());    // "false"
    • 문자열 연결 연산자를 이용하는 방법
    // 숫자 타입 => 문자열 타입
    console.log(1 + '');        // "1"
    console.log(NaN + '');      // "NaN"
    console.log(Infinity + ''); // "Infinity"
    // 불리언 타입 => 문자열 타입
    console.log(true + '');     // "true"
    console.log(false + '');    // "false"
  • 숫자 타입으로 변환하는 방법
    • Number 생성자 함수를 new 연산자 없이 호출하는 방법
    // 문자열 타입 => 숫자 타입
    console.log(Number('0'));     // 0
    console.log(Number('-1'));    // -1
    console.log(Number('10.53')); // 10.53
    // 불리언 타입 => 숫자 타입
    console.log(Number(true));    // 1
    console.log(Number(false));   // 0
    • parseInt, parseFloat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문자열만 변환 가능)
    // 문자열 타입 => 숫자 타입
    console.log(parseInt('0'));       // 0
    console.log(parseInt('-1'));      // -1
    console.log(parseFloat('10.53')); // 10.53
    • 단항 연결 연산자를 이용하는 방법
    // 문자열 타입 => 숫자 타입
    console.log(+'0');     // 0
    console.log(+'-1');    // -1
    console.log(+'10.53'); // 10.53
    // 불리언 타입 => 숫자 타입
    console.log(+true);    // 1
    console.log(+false);   // 0
    • 산술 연산자를 이용하는 방법
    // 문자열 타입 => 숫자 타입
    console.log('0' * 1);     // 0
    console.log('-1' * 1);    // -1
    console.log('10.53' * 1); // 10.53
    // 불리언 타입 => 숫자 타입
    console.log(true * 1);    // 1
    console.log(false * 1);   // 0
  • 불리언 타입으로 변환하는 방법
    • Boolean 생성자 함수를 new 연산자 없이 호출하는 방법
      // 문자열 타입 => 불리언 타입
      console.log(Boolean('x'));       // true
      console.log(Boolean(''));        // false
      console.log(Boolean('false'));   // true
      // 숫자 타입 => 불리언 타입
      console.log(Boolean(0));         // false
      console.log(Boolean(1));         // true
      console.log(Boolean(NaN));       // false
      console.log(Boolean(Infinity));  // true
      // null 타입 => 불리언 타입
       console.log(Boolean(null));      // false
      // undefined 타입 => 불리언 타입
      console.log(Boolean(undefined)); // false
      // 객체 타입 => 불리언 타입
      console.log(Boolean({}));        // true
      console.log(Boolean([]));        // true
    • ! 부정 논리 연산자를 두번 사용하는 방법
    // 문자열 타입 => 불리언 타입
    console.log(!!'x');       // true
    console.log(!!'');        // false
    console.log(!!'false');   // true
    // 숫자 타입 => 불리언 타입
    console.log(!!0);         // false
    console.log(!!1);         // true
    console.log(!!NaN);       // false
    console.log(!!Infinity);  // true
    // null 타입 => 불리언 타입
    console.log(!!null);      // false
    // undefined 타입 => 불리언 타입
    console.log(!!undefined); // false
    // 객체 타입 => 불리언 타입
    console.log(!!{});        // true
    console.log(!![]);        // true

단축 평가

  • 논리곱 연산자 &&

    • 두개의 피연산자가 모두 true로 평가될 때 true를 반환한다.
    •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평가가 진행된다.
    • 논리곱 연산자 &&는 논리 연산의 결과를 결정한 마지막 피연산자의 평가 결과를 반환한다.
  • 논리합 연산자 ||

    • 두개의 피연산자 중 하나만 true로 평가되어도 true를 반환한다.
    •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평가가 진행된다.
  • 단축 평가(Short-Circuit evaluation)

    • 논리곱 연산자 &&와 논리합 연산자 ||는 논리 평가를 결정한 피연산자의 평가 결과를 그대로 반환한다.
    • 단축 평가의 규칙
      • true || anything => true
        - false || anything => anything
        - true && anything => anything
        - false && anything => false
  • 단축 평가의 유용한 사용처

    • 객체가 null인지 확인하고 프로퍼티를 참조할 때
    var elem = null;
    
    console.log(elem.value); //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y 'value' of null
    console.log(elem && elem.value); // null
    • 함수의 인수(argument)를 초기화할 때
      // 단축 평가를 사용한 매개변수의 기본값 설정
      function getStringLength(str) {
       str = str || '';
       return str.length;
      }
      getStringLength();     // 0
      getStringLength('hi'); // 2
      // ES6의 매개변수의 기본값 설정
      function getStringLength(str = '') {
       return str.length;
      }
      getStringLength();     // 0
      getStringLength('hi'); // 2

2. 객체

객체(Object)란?

  • 자바스크립트는 객체(object) 기반의 스크립트 언어
  • 자바스크립트를 이루고 있는 거의 “모든 것”이 객체이다. 원시 타입(Primitives)을 제외한 나머지 값들(함수, 배열, 정규표현식 등)은 모두 객체이다.
  • 객체는 데이터를 의미하는 프로퍼티(property)와 데이터를 참조하고 조작할 수 있는 동작(behavior)을 의미하는 메소드(method)로 구성된 집합이다.
  • 데이터와 동작을 하나의 단위로 구조화할 수 있어 유용하다.
  • 자바스크립트의 객체는 객체지향의 상속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토타입(prototype)”이라고 불리는 객체의 프로퍼티와 메소드를 상속받을 수 있다.
    • 프로토타입은 타 언어와 구별되는 중요한 개념이다.
  • 프로퍼티
    • 객체는 프로퍼티를 열거할 때 순서를 보장하지 않는다.
    • 프로퍼티 키(이름)와 프로퍼티 값으로 구성된다.
      • 프로퍼티 키는 프로퍼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identifier)다.
      • 프로퍼티 키의 명명 규칙과 프로퍼티 값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값
        - 프로퍼티 키 : 빈 문자열을 포함하는 모든 문자열 또는 symbol 값
        • 프로퍼티 값 : 모든 값
        • 프로퍼티 키에 문자열이나 symbol 값 이외의 값을 지정하면 암묵적으로 타입이 변환되어 문자열이 된다.
        • 이미 존재하는 프로퍼티 키를 중복 선언하면 나중에 선언한 프로퍼티가 먼저 선언한 프로퍼티를 덮어쓴다.

객체 생성 방법

  • 자바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 기반 객체 지향 언어로서 클래스라는 개념이 없고 별도의 객체 생성 방법이 존재한다.
    • 클래스없이 프로토타입 체인과 클로저 등으로 객체 지향 언어의 상속, 캡슐화(정보 은닉) 등의 개념을 구현한다.
    • ECMAScript 6에서 새롭게 클래스가 도입되었다.
      • ES6의 클래스가 새로운 객체지향 모델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며 클래스도 사실 함수이고 기존 프로토타입 기반 패턴의 문법적 설탕(Syntactic sugar)이다.
  • 객체 리터럴
    • {} 내에 1개 이상의 프로퍼티를 기술하면 해당 프로퍼티가 추가된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 내에 아무것도 기술하지 않으면 빈 객체가 생성된다.
  • Object 생성자 함수
    new 연산자와 Object 생성자 함수를 호출하여 빈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 빈 객체의 생성
    var person = new Object();
    // 프로퍼티 추가
    person.name = 'Lee';
    person.gender = 'male';
    person.sayHello = function () {
      console.log('Hi! My name is ' + this.name);
    };
  • 생성자 함수

  • 생성자 함수를 사용하면 마치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클래스)처럼 사용하여 프로퍼티가 동일한 객체 여러 개를 간편하게 생성할 수 있다.

    function Person(name, gender) {
      this.name = name;
      this.gender = gender;
      this.sayHello = function(){
        console.log('Hi! My name is ' + this.name);
      };
    }
    
    // 인스턴스의 생성
    var person1 = new Person('Lee', 'male');
    var person2 = new Person('Kim', 'female');
  • 생성자 함수 이름은 일반적으로 대문자로 시작한다.

  • 프로퍼티 또는 메소드명 앞에 기술한 this는 생성자 함수가 생성할 인스턴스(instance)를 가리킨다.

  • this에 연결(바인딩)되어 있는 프로퍼티와 메소드는 public(외부에서 참조 가능)하다.

  • 생성자 함수 내에서 선언된 일반 변수는 private(외부에서 참조 불가능)하다. 즉, 생성자 함수 내부에서는 자유롭게 접근이 가능하나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다.

     function Person(name, gender) {
       var married = true;         // private
       this.name = name;           // public
       this.gender = gender;       // public
       this.sayHello = function(){ // public
         console.log('Hi! My name is ' + this.name);
       };
     }
  • 기존 함수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자 함수를 선언하고 new 연산자를 붙여서 호출하면 해당 함수는 생성자 함수로 동작한다.

  • new 연산자의 유무에 따라 this 바인딩이 다르게 동작한다.

객체 프로퍼티 접근

  • 프로퍼티 키

    • 일반적으로 문자열(빈 문자열 포함)을 지정한다.
    • 프로퍼티 키에 문자열이나 symbol 값 이외의 값을 지정하면 암묵적으로 타입이 변환되어 문자열이 된다.
    • 프로퍼티 키는 따옴표를 사용한다.
      •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 가능한 유효한 이름인 경우, 따옴표를 생략할 수 있다.
    • 예약어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사용할 수는 있으나 좋지 않다.)
    • 표현식을 프로퍼티 키로 사용하려면 키로 사용할 표현식을 대괄호로 묶어야 한다.
  • 프로퍼티 값 읽기

  • 객체의 프로퍼티 값에 접근하는 방법은 마침표(.) 표기법과 대괄호([]) 표기법이 있다.

    var person = {
      'first-name': 'Ung-mo',
      'last-name': 'Lee',
      gender: 'male',
      1: 10
    };
    console.log(person);
    console.log(person.first-name);    // NaN: undefined-undefined
    console.log(person[first-name]);   // ReferenceError: first is not defined
    console.log(person['first-name']); // 'Ung-mo'
    console.log(person.gender);    // 'male'
    console.log(person[gender]);   // ReferenceError: gender is not defined
    console.log(person['gender']); // 'male'
    console.log(person['1']); // 10
    console.log(person[1]);   // 10 : person[1] -> person['1']
    console.log(person.1);    // SyntaxError
  • 프로퍼티 키가 유효한 자바스크립트 이름이고 예약어가 아닌 경우 프로퍼티 값은 마침표 표기법, 대괄호 표기법 모두 사용할 수 있다.

  • 프로퍼티 이름이 유효한 자바스크립트 이름이 아니거나 예약어인 경우 프로퍼티 값은 대괄호 표기법으로 읽어야 한다. 대괄호([]) 표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대괄호 내에 들어가는 프로퍼티 이름은 반드시 문자열이어야 한다.

  • 객체에 존재하지 않는 프로퍼티를 참조하면 undefined를 반환한다.

  • 프로퍼티 값 갱신
    • 객체가 소유하고 있는 프로퍼티에 새로운 값을 할당하면 프로퍼티 값은 갱신된다.
  • 프로퍼티 동적 생성
    • 객체가 소유하고 있지 않은 프로퍼티 키에 값을 할당하면 하면 주어진 키와 값으로 프로퍼티를 생성하여 객체에 추가한다.
  • 프로퍼티 삭제
    • delete 연산자를 사용하면 객체의 프로퍼티를 삭제할 수 있다. 이때 피연산자는 프로퍼티 키여야 한다.
  • for-in 문
    • for-in 문을 사용하면 객체(배열 포함)에 포함된 모든 프로퍼티에 대해 루프를 수행할 수 있다.
    • 배열의 경우 인덱스가 반환된다
      • 배열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순서가 보장되지 않는다.
        • 배열 요소들만 순회하지 않는다.
        • for-of 문을 사용 할 수 있다.

Pass-by-reference

  • object type을 객체 타입 또는 참조 타입이라 한다. 참조 타입이란 객체의 모든 연산이 실제값이 아닌 참조값으로 처리됨을 의미한다.
  • 객체는 프로퍼티를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하므로 변경 가능(mutable)한 값이라 할 수 있다.
  • 객체 타입은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메모리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런타임에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메모리의 힙 영역(Heap Segment)에 저장된다.
// Pass-by-reference
var foo = {
  val: 10
}

var bar = foo;
console.log(foo.val, bar.val); // 10 10
console.log(foo === bar);      // true

bar.val = 20;
console.log(foo.val, bar.val); // 20 20
console.log(foo === bar);      // true

Pass-by-value

  • 원시 타입은 값(value)으로 전달된다. 즉, 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 이를 pass-by-value(값에 의한 전달)라 한다.
  • 원시 타입은 값이 한번 정해지면 변경할 수 없다.(immutable)
  • 런타임(변수 할당 시점)에 메모리의 스택 영역(Stack Segment)에 고정된 메모리 영역을 점유하고 저장된다.

객체의 분류

  • Built-in Object(내장 객체)
    • 웹페이지 등을 표현하기 위한 공통의 기능을 제공한다. 웹페이지가 브라우저에 의해 로드되자마자 별다른 행위없이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 Standard Built-in Objects (or Global Objects)
      • BOM (Browser Object Model)
      • DOM (Document Object Model)
  • Standard Built-in Objects(표준 빌트인 객체)를 제외한 BOM과 DOM을 Native Object라고 분류하기도 한다. 또한 사용자가 생성한 객체를 Host Object(사용자 정의 객체)라 한다.
  • Host Object(사용자 정의 객체)
    • 사용자가 생성한 객체 들이다. constructor 혹은 객체리터럴을 통해 사용자가 객체를 정의하고 확장시킨 것들이기 때문에 Built-in Object 와 Native Object가 구성된 이후에 구성된다.

단어

  • 생성자(constructor) 함수: new 키워드와 함께 객체를 생성하고 초기화하는 함수를 말한다.
    • 자바스크립트는 Object, String, Number, Boolean, Array, Date, RegExp 등의 빌트인 생성자 함수를 제공한다. 일반 함수와 생성자 함수를 구분하기 위해 생성자 함수의 이름은 파스칼 케이스(PascalCase)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인스턴스(instance): 생성자 함수를 통해 생성된 객체

3. 객체와 변경불가성(Immutability)

  • Immutability(변경불가성)는 객체가 생성된 이후 그 상태를 변경할 수 없는 디자인 패턴.
  • Immutability은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핵심 원리이다.
  • 불변 객체를 사용하면 복제나 비교를 위한 조작을 단순화 할 수 있고 성능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 하지만 객체가 변경 가능한 데이터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경우 오히려 부적절한 경우가 있다.
  • ES6에서는 불변 데이터 패턴(immutable data pattern)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다.

불변 데이터 패턴(immutable data pattern)

  • 객체의 방어적 복사(defensive copy): Object.assign

    • Object.assign은 타킷 객체로 소스 객체의 프로퍼티를 복사한다. 이때 소스 객체의 프로퍼티와 동일한 프로퍼티를 가진 타켓 객체의 프로퍼티들은 소스 객체의 프로퍼티로 덮어쓰기된다. 리턴값으로 타킷 객체를 반환한다. ES6에서 추가된 메소드이며 Internet Explorer는 지원하지 않는다.
    // Syntax
    Object.assign(target, ...sources)
    // Copy
    const obj = { a: 1 };
    const copy = Object.assign({}, obj);
    console.log(copy); // { a: 1 }
    console.log(obj == copy); // false
     // Merge
    const o1 = { a: 1 };
    const o2 = { b: 2 };
    const o3 = { c: 3 };
    
    const merge1 = Object.assign(o1, o2, o3);
    
    console.log(merge1); // { a: 1, b: 2, c: 3 }
    console.log(o1);     // { a: 1, b: 2, c: 3 }, 타겟 객체가 변경된다!
    
    // Merge
    const o4 = { a: 1 };
    const o5 = { b: 2 };
    const o6 = { c: 3 };
    
    const merge2 = Object.assign({}, o4, o5, o6);
    
    console.log(merge2); // { a: 1, b: 2, c: 3 }
    console.log(o4);     // { a: 1 }
    • Object.assign은 완전한 deep copy를 지원하지 않는다. 객체 내부의 객체(Nested Object)는 Shallow copy된다.
  • 불변객체화를 통한 객체 변경 방지: Object.freeze

    • Object.freeze()를 사용하여 불변(immutable) 객체로 만들수 있다.
     const user1 = {
       name: 'Lee',
       address: {
         city: 'Seoul'
       }
     };
    
     Object.freeze(user1);
     user1.name = 'Kim'; // 무시된다!
     console.log(user1); // { name: 'Lee', address: { city: 'Seoul' } }
     console.log(Object.isFrozen(user1)); // true
    • 객체 내부의 객체(Nested Object)는 변경가능하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deepFreeze를 해야한다.
  • Immutable.js

    • Object.assign과 Object.freeze을 사용하여 불변 객체를 만드는 방법은 번거러울 뿐더러 성능상 이슈가 있어서 큰 객체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또 다른 대안으로 Facebook이 제공하는 Immutable.js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 Immutable.js는 List, Stack, Map, OrderedMap, Set, OrderedSet, Record와 같은 영구 불변 (Permit Immutable) 데이터 구조를 제공한다.

    • 설치 방법

      • $ npm install immutable
      • Immutable.js의 Map 모듈을 임포트하여 사용한다.
    • 사용방법

      const { Map } = require('immutable')
      
      const map1 = Map({ a: 1, b: 2, c: 3 })
      const map2 = map1.set('b', 50)
      map1.get('b') // 2
      map2.get('b') // 50

4. 함수

  • 어떤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문(statement)들의 집합을 정의한 코드 블록이다. 함수는 이름과 매개변수를 갖으며 필요한 때에 호출하여 코드 블록에 담긴 문들을 일괄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 객체 생성, 객체의 행위 정의(메소드), 정보 은닉, 클로저, 모듈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객체(일급 객체, First-class object)이다. 다른 객체와 구분될 수 있는 특징은 호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함수도 객체이므로 다른 값들처럼 사용할 수 있다. 즉, 변수나 객체, 배열 등에 저장할 수 있고 다른 함수에 전달되는 인수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함수의 반환값이 될 수도 있다.

함수 정의

  • 함수 선언문(Function declaration)

    • function 키워드와 이하의 내용으로 구성된다.
    • 함수 선언문의 경우, 함수명은 생략할 수 없다.
      • 함수명은 함수 몸체에서 자신을 재귀적(recursive) 호출하거나 자바스크립트 디버거가 해당 함수를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이다.
    • 매개변수 목록
      • 0개 이상의 목록으로 괄호로 감싸고 콤마로 분리한다. 다른 언어와의 차이점은 매개변수의 타입을 기술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함수 몸체
        • 함수가 호출되었을 때 실행되는 문들의 집합이다. 중괄호({ })로 문들을 감싸고 return 문으로 결과값을 반환할 수 있다. 이를 반환값(return value)라 한다.
    // 함수 선언문
    function square(number) {
    return number * number;
    }
  • 함수 표현식 (Function expression)

    • 함수 리터럴 방식으로 함수를 정의하고 변수에 할당하는 방식을 함수 표현식이라 한다.
    • 함수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러한 함수를 익명 함수(anonymous function)이라 한다.
    // 기명 함수 표현식(named function expression)
    var foo = function multiply(a, b) {
      return a * b;
    };
    
    // 익명 함수 표현식(anonymous function expression)
    var bar = function(a, b) {
      return a * b;
    };
    console.log(foo(10, 5)); // 50
    console.log(multiply(10, 5)); // Uncaught ReferenceError: multiply is not     defined
    • 함수 표현식에서 사용한 함수명은 외부 코드에서 접근 불가능하다.
  • Function 생성자 함수
    • 함수 선언문과 함수 표현식은 모두 함수 리터럴 방식으로 함수를 정의하는데 이것은 결국 내장 함수 Function 생성자 함수로 함수를 생성하는 것을 단순화시킨 short-hand(축약법)이다.
    • Function 생성자 함수는 Function.prototype.constructor 프로퍼티로 접근할 수 있다.
    new Function(arg1, arg2, ... argN, functionBody)
    var square = new Function('number', 'return number * number');
    console.log(square(10)); // 100

함수 호이스팅

  • 함수 선언문의 경우, 함수 선언의 위치와는 상관없이 코드 내 어느 곳에서든지 호출이 가능한데 이것을 함수 호이스팅(Function Hoisting)이라 한다.

  • 자바스크립트는 ES6의 let, const를 포함하여 모든 선언(var, let, const, function, function*, class)을 호이스팅(Hoisting)한다.

  •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된 함수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스크립트가 로딩되는 시점에 바로 초기화하고 이를 VO(variable object)에 저장한다. 즉, 함수 선언, 초기화, 할당이 한번에 이루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함수 선언의 위치와는 상관없이 소스 내 어느 곳에서든지 호출이 가능하다.

  • 함수 표현식의 경우 함수 호이스팅이 아니라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한다. 변수 호이스팅은 변수 생성 및 초기화와 할당이 분리되어 진행된다. 호이스팅된 변수는 undefined로 초기화 되고 실제값의 할당은 할당문에서 이루어진다.

    • 스크립트 로딩 시점에 변수 객체(VO)에 함수를 할당하지 않고 runtime에 해석되고 실행된다.
  • 더글러스 크락포드(Douglas Crockford)는 이와 함수 표현식만을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함수 호이스팅이 함수 호출 전 반드시 함수를 선언하여야 한다는 규칙을 무시하므로 코드의 구조를 엉성하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한다.

  • 함수 선언문으로 함수를 정의하면 사용하기에 쉽지만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경우 인터프리터가 너무 많은 코드를 변수 객체(VO)에 저장하므로 애플리케이션의 응답속도는 현저히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First-class object (일급 객체)

  • 일급 객체(first-class object)란 생성, 대입, 연산, 인자 또는 반환값으로서의 전달 등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적 조작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는 대상을 의미한다.
  •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일급 객체로 간주한다.
    • 무명의 리터럴로 표현이 가능하다.
    • 변수나 자료 구조(객체, 배열 등)에 저장할 수 있다.
    • 함수의 매개변수에 전달할 수 있다.
    • 반환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매개변수(Parameter, 인자)

  • 함수의 작업 실행을 위해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할 경우, 매개변수를 지정한다. 매개변수는 함수 내에서 변수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 매개변수(parameter, 인자) vs 인수(argument)

    • 매개변수는 함수 내에서 변수와 동일하게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며 함수에 전달된 인수는 매개변수에 할당된다. 만약 인수를 전달하지 않으면 매개변수는 undefined로 초기화된다.
  • Call-by-value

    • 원시 타입 인수는 Call-by-value(값에 의한 호출)로 동작한다.
    • 함수 호출 시 원시 타입 인수를 함수에 매개변수로 전달할 때 매개변수에 값을 복사하여 함수로 전달하는 방식.
    • 함수 내에서 매개변수 값이 변경되어도 전달이 완료된 인수의 값은 변경되지 않는다.
  • Call-by-reference

    • 객체형(참조형) 인수는 Call-by-reference(참조에 의한 호출)로 동작한다.
    • 함수 호출 시 참조 타입 인수를 함수에 매개변수로 전달할 때 매개변수에 값이 복사되지 않고 객체의 참조값이 매개변수에 저장되어 함수로 전달되는 방식.
    • 이때 함수 내에서 매개변수의 참조값을 이용하여 객체의 값을 변경했을 때 전달되어진 참조형의 인수값도 같이 변경된다.
  • 순수함수(Pure function): 어떤 외부 상태도 변경하지 않는 함수

  • 비순수함수(Impure function): 외부 상태를 변경시키는 부수 효과를 발생시키는 함수
    . 이와 같이 부수 효과를 발생시키는 비순수 함수(Impure function)는 복잡성을 증가시킨다. 비순수 함수를 최대한 줄이는 것은 부수 효과를 최대한 억제하는 것과 같다. 이것은 디버깅을 쉽게 만든다.

반환값

  • 함수는 자신을 호출한 코드에게 수행한 결과를 반환(return)할 수 있다. 이때 반환된 값을 반환값(return value)이라 한다.
  • return 키워드는 함수를 호출한 코드(caller)에게 값을 반환할 때 사용한다.
  • 함수는 반환을 생략할 수 있다. 이때 함수는 암묵적으로 undefined를 반환한다.
  • 자바스크립트 해석기는 return 키워드를 만나면 함수의 실행을 중단한 후, 함수를 호출한 코드로 되돌아간다.

함수 객체의 프로퍼티

  • 함수는 객체이다. 따라서 함수도 프로퍼티를 가질 수 있다.

  • arguments 프로퍼티

    • arguments 객체는 함수 호출 시 전달된 인수(argument)들의 정보를 담고 있는 순회가능한(iterable) 유사 배열 객체(array-like object)이며 함수 내부에서 지역변수처럼 사용된다.
    • arguments 프로퍼티는 현재 일부 브라우저에서 지원하고 있지만 ES3부터 표준에서 deprecated 되었다. Function.arguments와 같은 사용 방법은 권장되지 않으며 함수 내부에서 지역변수처럼 사용할 수 있는 arguments 객체를 참조하도록 한다.
    • 매개변수(parameter)는 인수(argument)로 초기화된다.
    • 유사배열객체란 length 프로퍼티를 가진 객체를 말한다. Function.prototype.call, Function.prototype.apply을 통해 Array method를 사용 할 수 있다.
    function sum() {
      if (!arguments.length) return 0;
    
      // arguments 객체를 배열로 변환
      var array = Array.prototype.slice.call(arguments);
      return array.reduce(function (pre, cur) {
        return pre + cur;
      });
    }
    
    // ES6
    // function sum(...args) {
    //   if (!args.length) return 0;
    //   return args.reduce((pre, cur) => pre + cur);
    // }
    
    console.log(sum(1, 2, 3, 4, 5)); // 15
  • caller 프로퍼티

    • caller 프로퍼티는 자신을 호출한 함수를 나타낸다.
    function foo(func) {
      var res = func();
      return res;
    }
    
    function bar() {
      return 'caller : ' + bar.caller;
    }
    
    console.log(foo(bar)); // caller : function foo(func) {...}
    console.log(bar());    // null (browser에서의 실행 결과)
    
  • length 프로퍼티

    • length 프로퍼티는 함수 정의 시 작성된 매개변수 갯수를 의미한다.
  • name 프로퍼티

    • 함수명을 나타낸다. 기명함수의 경우 함수명을 값으로 갖고 익명함수의 경우 빈문자열을 값으로 갖는다.
  • __proto__ 접근자 프로퍼티

    • 모든 객체는 [[Prototype]]이라는 내부 슬롯이 있다. [[Prototype]] 내부 슬롯은 프로토타입 객체를 가리킨다.
    • 프로토타입 객체란 프로토타입 기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근간을 이루는 객체로서 객체간의 상속(Inheritance)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프로토타입 객체는 다른 객체에 공유 프로퍼티를 제공하는 객체를 말한다.
    • __proto__ 프로퍼티는 [[Prototype]] 내부 슬롯이 가리키는 프로토타입 객체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접근자 프로퍼티이다. 내부 슬롯에는 직접 접근할 수 없고 간접적인 접근 방법을 제공하는 경우에 한하여 접근할 수 있다.
     // __proto__ 접근자 프로퍼티를 통해 자신의 프로토타입 객체에 접근할 수 있다.
     // 객체 리터럴로 셍성한 객체의 프로토타입 객체는 Object.prototype이다.
     console.log({}.__proto__ === Object.prototype); // true
    • __proto__ 프로퍼티는 객체가 직접 소유하는 프로퍼티가 아니라 모든 객체의 프로토타입 객체인 Object.prototype 객체의 프로퍼티이다. 모든 객체는 상속을 통해 proto 접근자 프로퍼티는 사용할 수 있다.
      // 객체는 __proto__ 프로퍼티를 소유하지 않는다.
      console.log(Object.getOwnPropertyDescriptor({}, '__proto__'));
      // undefined
      // __proto__ 프로퍼티는 모든 객체의 프로토타입 객체인 Object.prototype의 접근자 프로퍼티    이다.
      console.log(Object.getOwnPropertyDescriptor(Object.prototype, '__proto__'));
      // {get: ƒ, set: ƒ, enumerable: false, configurable: true}
      // 모든 객체는 Object.prototype의 접근자 프로퍼티 __proto__를 상속받아 사용할 수 있다.
      console.log({}.__proto__ === Object.prototype); // true
  • prototype 프로퍼티

    • prototype 프로퍼티는 함수 객체만이 소유하는 프로퍼티이다. 즉 일반 객체에는 prototype 프로퍼티가 없다.

    • 함수 객체는 prototype 프로퍼티를 소유한다.

    • 일반 객체는 prototype 프로퍼티를 소유하지 않는다.

    • prototype 프로퍼티는 함수가 객체를 생성하는 생성자 함수로 사용될 때, 생성자 함수가 생성한 인스턴스의 프로토타입 객체를 가리킨다.

함수의 다양한 형태

  • 즉시 실행 함수

    • 함수의 정의와 동시에 실행되는 함수를 즉시 실행 함수(IIFE, Immediately Invoke Function Expression)라고 한다. 최초 한번만 호출되며 다시 호출할 수는 없다.
     // 기명 즉시 실행 함수(named immediately-invoked function expression)
     (function myFunction() {
       var a = 3;
       var b = 5;
       return a * b;
     }());
    
     // 익명 즉시 실행 함수(immediately-invoked function expression)
     (function () {
       var a = 3;
       var b = 5;
       return a * b;
     }());
    • 자바스크립트는 파일이 분리되어 있다하여도 글로벌 스코프가 하나이며 글로벌 스코프에 선언된 변수나 함수는 코드 내의 어디서든지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즉시 실행 함수 내에 처리 로직을 모아 두면 혹시 있을 수도 있는 변수명 또는 함수명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특히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코드를 즉시 실행 함수 내에 정의해 두면 라이브러리의 변수들이 독립된 영역 내에 있게 되므로 여러 라이브러리들은 동시에 사용하더라도 변수명 충돌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 내부 함수

    • 함수 내부에 정의된 함수를 내부함수(Inner function)라 한다.

    • 내부함수 child는 자신을 포함하고 있는 부모함수 parent의 변수에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부모함수는 자식함수(내부함수)의 변수에 접근할 수 없다.

    • 내부함수는 부모함수의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다.

  • 재귀 함수

    • 재귀 함수(Recusive function)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를 말한다.
    • 재귀 함수는 자신을 무한히 연쇄 호출하므로 호출을 멈출 수 있는 탈출 조건을 반드시 만들어야 한다.
    • 대부분의 재귀 함수는 for나 while 문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반복문보다 재귀 함수를 통해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구현이 가능한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콜백 함수

    • 콜백 함수(Callback function)는 함수를 명시적으로 호출하는 방식이 아니라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시스템에 의해 호출되는 함수를 말한다.

    • 콜백 함수는 주로 비동기식 처리 모델(Asynchronous processing model)에 사용된다.

    • 비동기식 처리 모델이란 처리가 종료하면 호출될 함수(콜백함수)를 미리 매개변수에 전달하고 처리가 종료하면 콜백함수를 호출하는 것이다.

    • 콜백함수는 콜백 큐에 들어가 있다가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면 호출된다. 콜백 함수는 클로저이므로 콜백 큐에 단독으로 존재하다가 호출되어도 콜백함수를 전달받은 함수의 변수에 접근할 수 있다.

좋은 웹페이지 즐겨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