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 리터럴 (10)

Javascript에서의 객체

  • JS는 객체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JS를 구성하는 거의 '모든 것'이 객체다.

  • 원시 값을 제외한 나머지 값(함수, 배열, 정규 표현식 등)은 모두 객체다.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immutable) /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mutable)

  • JS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값은 프로퍼티 값이 될 수 있다.

  • 함수도 프로퍼티 값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 일반 함수와 구분하기 위해 메소드(method)라 부른다.

이처럼 객체는 프로퍼티와 메서드로 구성된 집합체다. 프로퍼티와 메서드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 프로퍼티: 객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값(data)

  • 메소드: 프로퍼티(상태 데이터)를 참조하고 조작할 수 있는 동작(behavior)

  • 이처럼 객체는 상태와 동작을 하나의 단위로 구조화할 수 있어 유용하다.


객체 리터럴에 의한 객체 생성

C++나 자바 같은 클래스 기반 객체지향 언어는 클래스를 사전에 정의하고 필요한 시점에 new 연산자와 함께 생성자(constructor)를 호출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객체를 생성한다.
그렇다면 JS는?

  • JS는 프로토타입 객체지향 언어 - 클래스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객체 생성 방법 지원

  •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객체 리터럴 방식const object={}은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클래스를 먼저 정의하고 new 연산자와 함께 생성자를 호출할 필요가 없다. (숫자값, 문자값 생성 방식과 유사)

  • 객체 리터럴 외의 객체 생성 방식은 모두 함수를 사용해 객체 생성


프로퍼티(속성)

객체는 프로퍼티의 집합이며, 프로퍼티는 키와 값으로 구성된다.

식별자 네이밍 규칙

프로퍼티 키: 빈 문자열을 포함하는 모든 문자열 또는 심벌 값
프로퍼티 값: JS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값

  • 식별자 네이밍 규칙을 따르지 않는 프로퍼티 키를 사용하면 번거로운 일이 발생한다. 가급적 따를 것을 권장함.
var person = {
  firstName: 'Ung-mo', // 식별자 네이밍 규칙을 준수하는 프로퍼티 키
  'last-name': 'Lee'   // 식별자 네이밍 규칙을 준수하지 않는 프로퍼티 키
};

console.log(person); // {firstName: "Ung-mo", last-name: "Lee"}
var person = {
  firstName: 'Ung-mo',
  last-name: 'Lee' // SyntaxError: Unexpected token -
};
  • JS엔진은 last-name을 -연산자가 있는 표현식으로 해석한다.
var obj = {};
var key = 'hello';

// ES5: 프로퍼티 키 동적 생성
obj[key] = 'world';
// ES6: 계산된 프로퍼티 이름
// var obj = { [key]: 'world' };

console.log(obj); // {hello: "world"}
  • 문자열 또는 문자열로 평가할 수 있는 표현식을 사용해 프로퍼티 키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 이 경우에는 프로퍼티 키로 사용할 표현식을 대괄호[]로 묶어야 한다.

var foo = {
  '': ''  // 빈 문자열도 프로퍼티 키로 사용할 수 있다.
};

console.log(foo); // {"": ""}
  • 빈 문자열도 프로퍼티 키로 사용할 수 있지만 권장하지 않는다.
var foo = {
  0: 1,
  1: 2,
  2: 3
};

console.log(foo); // {0: 1, 1: 2, 2: 3}
  • 프로퍼티 키에 문자열이나 심벌 값 외의 값을 사용하면 암묵적 타입 변환을 통해 문자열이 된다.
var foo = {
  name: 'Lee',
  name: 'Kim'
};

console.log(foo); // {name: "Kim"}
  • 이미 존재하는 프로퍼티 키를 중복 선언하면 나중에 선언한 프로퍼티가 먼저 선언한 프로퍼티를 덮어쓴다. 이 때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의하자.

메서드

  • JS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값은 프로퍼티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했다.

그렇다면 함수 또한 프로퍼티 값으로 사용할 수 있을까?

  • JS 함수는 객체다(18장에서 설명 예정). - 따라서 함수는 값으로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퍼티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이 경우를 메서드라고 부른다.
var circle = {
  radius: 5, // ← 프로퍼티

  // 원의 지름
  getDiameter: function () { // ← 메서드
    return 2 * this.radius; // this는 circle을 가리킨다.
  }
};

console.log(circle.getDiameter()); // 10
  • 메서드 내부에서 사용한 this 키워드는 객체 자신(위 예제에서는 circle 객체)을 가리키는 참조변수다. 이에 대해서는 22장 'this'에서 다시 설명하겠다.

프로퍼티 접근

  • 프로퍼티에 접근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마침표.와 대괄호[]

var person = {
  name: 'Lee'
};

// 마침표 표기법에 의한 프로퍼티 접근
console.log(person.name); // Lee

// 대괄호 표기법에 의한 프로퍼티 접근
console.log(person['name']); // Lee
  • 대괄호 표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대괄호 프로퍼티 접근 연산자 내부에 지정하는 프로퍼티 키는 반드시 따옴표로 감싼 문자열이어야 한다.
var person = {
  name: 'Lee'
};

console.log(person[name]); // ReferenceError: name is not defined

// 이런 참조 에러를 발생시킬 수 있다.
  • 위 예제에서 참조 에러가 발생한 이유는 대괄호 연산자 내의 따옴표를 감싸지 않은 이름, 즉 식별자 name을 평가하기 위해 선언된 name을 찾았지만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var person = {
  name: 'Lee'
};

console.log(person.age); // undefined
  • 객체에 존재하지 않는 프로퍼티에 접근하면 undefined를 반환한다. 이 때 참조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var person = {
  'last-name': 'Lee',
  1: 10
};

person.'last-name';  // -> SyntaxError: Unexpected string
person.last-name;    // -> 브라우저 환경: NaN
                     // -> Node.js 환경: ReferenceError: name is not defined
person[last-name];   // -> ReferenceError: last is not defined
person['last-name']; // -> Lee

// 프로퍼티 키가 숫자로 이뤄진 문자열인 경우 따옴표를 생략할 수 있다.
person.1;     // -> SyntaxError: Unexpected number
person.'1';   // -> SyntaxError: Unexpected string
person[1];    // -> 10 : person[1] -> person['1']
person['1'];  // -> 10

위 예제에서 person.last-name의 실행결과가 브라우저 환경과 Node.js 환경에서 서로 다르다. 왜?

  1. person.last-name을 실행할 때 JS 엔진은 먼저 person.last를 평가한다.

  2. person객체에는 프로퍼티 키가 last인 프로퍼티 키가 없기 때문에 person.lastundefined로 평가된다.

  3. 따라서 person.last-nameundefined-name과 같다.

  4. 다음으로 JS 엔진은 name이라는 식별자를 찾는다. 이 때 name은 프로퍼티 키가 아니라 식별자로 해석된다.

  5. Node.js 환경에서는 현재 어디에도 name이라는 식별자(변수, 함수 등의 이름) 선언이 없으므로 ReferenceError: name is not defined라는 에러가 발생한다.

  6. 그런데 브라우저 환경에서는 name이라는 전역 변수(전역 객체 window의 프로퍼티)가 암묵적으로 존재한다.

  7. 따라서 전역 변수 namewindow의 이름을 가리키며, 기본값은 빈 문자열이다.

  8. 결과적으로, person.last-nameundefined - ''와 같으므로 NaN이 된다.


프로퍼티 동적 생성

var person = {
  name: 'Lee'
};

// person 객체에는 age 프로퍼티가 존재하지 않는다.
// 따라서 person 객체에 age 프로퍼티가 동적으로 생성되고 값이 할당된다.
person.age = 20;

console.log(person); // {name: "Lee", age: 20}
  • 존재하지 않는 프로퍼티에 값을 할당하면 프로퍼티가 동적으로 생성되어 추가되고 프로퍼티 값이 할당된다.

프로퍼티 삭제

var person = {
  name: 'Lee'
};

// 프로퍼티 동적 생성
person.age = 20;

// person 객체에 age 프로퍼티가 존재한다.
// 따라서 delete 연산자로 age 프로퍼티를 삭제할 수 있다.
delete person.age;

// person 객체에 address 프로퍼티가 존재하지 않는다.
// 따라서 delete 연산자로 address 프로퍼티를 삭제할 수 없다. 이때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delete person.address;

console.log(person); // {name: "Lee"}
  • delete 연산자는 객체의 프로퍼티를 삭제한다.

  • 만약 존재하지 않는 프로퍼티를 삭제하면 아무런 에러 없이 무시된다.


계산된 프로퍼티 이름

// ES5
var prefix = 'prop';
var i = 0;

var obj = {};

// 계산된 프로퍼티 이름으로 프로퍼티 키 동적 생성
obj[prefix + '-' + ++i] = i;
obj[prefix + '-' + ++i] = i;
obj[prefix + '-' + ++i] = i;

console.log(obj); // {prop-1: 1, prop-2: 2, prop-3: 3}
// ES6
const prefix = 'prop';
let i = 0;

// 객체 리터럴 내부에서 계산된 프로퍼티 이름으로 프로퍼티 키 동적 생성
const obj = {
  [`${prefix}-${++i}`]: i,
  [`${prefix}-${++i}`]: i,
  [`${prefix}-${++i}`]: i
};

console.log(obj); // {prop-1: 1, prop-2: 2, prop-3: 3}
  • ES6에서는 객체 리터럴 내부에서도 계산된 프로퍼티 이름으로 프로퍼티 키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

메서드 축약

  • ES5에서 메서드를 정의하려면 프로퍼티 값으로 함수를 할당한다.
// ES5
var obj = {
  name: 'Lee',
  sayHi: function() {
    console.log('Hi! ' + this.name);
  }
};

obj.sayHi(); // Hi! Lee
  • ES6에서는 메서드를 정의할 때 축약 가능
// ES6
const obj = {
  name: 'Lee',
  // 메서드 축약 표현
  sayHi() {
    console.log('Hi! ' + this.name);
  }
};

obj.sayHi(); // Hi! Lee

좋은 웹페이지 즐겨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