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009 배열 내장함수
45885 단어 JavaScriptJavaScript
미래에 대한 계속 된 고민이 생기다보니 문법에 대한 공부보다 더 빠른길과 확실한 길을 찾기위해 취업자료를 찾아보는 시간이 길어진거같습니다. 공부 외 시간을 최대한으로 줄이고 JS문법 리액트, 알고리즘 문제풀이에 조금 더 집중하려고 합니다.
배열 내장함수
forEach
forEach는 가장 쉬운 배열 내장함수이다. 기존에 우리가 배웠던 for문을 대체 시킬 수 있다.
const superheroes = ["아이언맨", "캡틴 아메리카", "토르", "닥터 스트레인지"];
만약, 배열 안에 있는 모든 원소들을 모두 출력해야 한다면 for문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현 할 수 있다.
const superheroes = ["아이언맨", "캡틴 아메리카", "토르", "닥터 스트레인지"];
for (let i = 0; i < superheroes.length; i++){
console.log(superheroes[i]);
}
배열의 forEach 함수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구현 할 수 있다.
const superheroes = ["아이언맨", "캡틴 아메리카", "토르", "닥터 스트레인지"];
superheroes.forEach(hero => {
console.log(hero);
});
forEach 함수의 파라미터로는, 각 원소에 대하여 처리하고 싶은 코드를 함수로 넣어준다. 이 함수의 파라미터 hero는 각 원소를 가르키게 된다.
map
map 은 배열 안의 각 원소를 변환 할 때 사용 되며, 이 과정에서 새로운 배열이 만들어진다.
const array = [1, 2, 3, 4, 5, 6, 7, 8];
만약에 배열 안의 모든 숫자를 제곱해서 새로운 배열을 만들고 싶다면 map 함수를 사용하지 않고 지금까지 배운 지식들을 활용한다면 다음과 같이 구현 할 수 있다.
const array = [1, 2, 3, 4, 5, 6, 7, 8];
const squared = [];
for (let i = 0; i < array.length; i++) {
squared.push(array[i] * array[i]);
};
console.log(squared);
forEach 를 사용해서도 구현 할 수 있다.
const array = [1, 2, 3, 4, 5, 6, 7, 8];
const squared = [];
array.forEach( n => {
squared.push( n * n );
});
console.log(squared);
만약 map 을 사용하면 이를 더 짧은 코드를 사용하여 구현 할 수 있다.
const array = [1, 2, 3, 4, 5, 6, 7, 8];
const square = n => n * n;
const squared = array.map(square);
console.log(squared);
map 은 함수의 파라미터로 변화를 주는 함수를 전달해준다. 이를 변화함수라고 부른다.
indexOf
indexOf 는 원하는 항목이 몇번째 원소인지 찾아주는 함수이다.
예를 들어서 다음과 같은 배열이 있을 때
const superheroes = ["아이언맨", "캡틴 아메리카", "토르", "닥터 스트레인지"];
토르가 몇번째 항목인지 알고싶다면 이렇게 입력 할 수 있다.
const superheroes = ["아이언맨", "캡틴 아메리카", "토르", "닥터 스트레인지"];
const index = superheroes.indexOf("토르");
console.log(index);
결과는 2가 나타난다.
index 값은 0 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2라는 값이 나온다.
findIndex
만약에 배열 안에 있는 값이 숫자, 문자열, 또는 불리언이라면 찾고자하는 항목이 몇번째 원소인지 알아내려면 indexOf 를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배열 안에 있는 값이 객체이거나, 배열이라면 indexOf로 찾을 수 없다.
const todos = [
{
id: 1,
text: '자바스크립트 입문',
done: true
},
{
id: 2,
text: '함수 배우기',
done: true
},
{
id: 3,
text: '객체와 배열 배우기',
done: true
},
{
id: 4,
text: '배열 내장함수 배우기',
done: false
}
];
여기서 만약 id가 3 인 객체가 몇번째인지 찾으려면, findIndex 함수에 검사하고자 하는 조건을 반환하는 함수를 넣어서 찾을 수 있다.
const todos = [
{
id: 1,
text: '자바스크립트 입문',
done: true
},
{
id: 2,
text: '함수 배우기',
done: true
},
{
id: 3,
text: '객체와 배열 배우기',
done: true
},
{
id: 4,
text: '배열 내장함수 배우기',
done: false
}
];
const index = todos.findIndex(todo => todo.id === 3);
console.log(index);
결과는 2가 나타난다.
find
find 함수는 findIndex 랑 비슷한데, 찾아낸 값이 몇번째인지 알아내는 것이 아니라, 찾아낸 값 자체를 반환한다.
const todos = [
{
id: 1,
text: '자바스크립트 입문',
done: true
},
{
id: 2,
text: '함수 배우기',
done: true
},
{
id: 3,
text: '객체와 배열 배우기',
done: true
},
{
id: 4,
text: '배열 내장함수 배우기',
done: false
}
];
const todo = todos.find(todo => todo.id === 3);
console.log(todo);
결과는 다음과 같다.
{id: 3, text: "객체와 배열 배우기", done: true}
filter
filter 함수는 배열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값들만 따로 추출하여 새로운 배열을 만든다.
const todos = [
{
id: 1,
text: '자바스크립트 입문',
done: true
},
{
id: 2,
text: '함수 배우기',
done: true
},
{
id: 3,
text: '객체와 배열 배우기',
done: true
},
{
id: 4,
text: '배열 내장함수 배우기',
done: false
}
];
const tasksNotDone = todos.filter(todo => todo.done === false);
console.log(tasksNotDone);
결과는 다음과 같다.
[
{
id: 4,
text: '배열 내장 함수 배우기',
done: false
}
];
filter 함수에 넣는 파리미터는 조건을 검사하는 함수를 넣어주며, 이 함수의 파라미터로 각 원소의 값을 받아오게 된다.
splice
splice 는 배열에서 특정 항목을 제거할 때 사용한다.
const numbers = [10, 20, 30, 40];
위 배열에서 30을 지운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30이 몇번째 index 인지 알아낸 이후, 이를 splice 를 통해 지워줄 수 있다.
const numbers = [10, 20, 30, 40];
const index = numbers.indexOf(30);
numbers.splice(index, 1);
console.log(numbers);
splice 를 사용 할 때 첫번째 파라미터는 어떤 인덱스부터 지울지를 의미하고 두번째 파라미터는 그 인덱스 부터 몇개를 지울지를 의미한다.
slice
slice 는 splice 랑 조금 비슷하다. 배열을 잘라낼 때 사용하는데, 중요한 점은 기존의 배열은 건들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const numbers = [10, 20, 30, 40];
const sliced = numbers.slice(0, 2); // 0부터 시작해서 2전까지
console.log(sliced); // [10, 20]
console.log(numbers); // [10, 20, 30, 40]
slice 에는 두개의 파라미터를 넣게 되는데 첮번째 파라미터는 어디서 부터 자를지, 그리고 두번째 파라미터는 어디까지 자를지를 의미한다.
shift 와 pop
shift 와 pop 은 비슷하지만, 다르다.
shift 는 첫번째 원소를 배열에서 추출해준다. (추출하는 과정에서 배열에서 해당 원소는 사라진다.)
const numbers = [10, 20, 30, 40];
const value = numbers.shift();
console.log(value);
console.log(numbers);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
[20, 30, 40]
이번엔 pop 이다.
const numbers = [10, 20, 30, 40];
const value = numbers.pop();
console.log(value);
console.log(numbers);
결과는 다음과 같다.
40
[10, 20, 30]
pop 은 push 의 반대로 생각하면 된다. push 는 배열의 맨 마지막에 새 항목을 추가하고, pop은 맨 마지막 항목을 추출한다.
unshift
unshift 는 shift 의 반대다.
배열의 맨 앞에 새 원소를 추가한다.
const numbers = [10, 20, 30, 40];
numbers.unshift(5);
console.log(numbers);
결과는 다음과 같다.
[5, 10, 20, 30, 40]
concat
concat 은 여러개의 배열을 하나의 배열로 합쳐준다.
const arr1 = [1, 2, 3];
const arr2 = [4, 5, 6];
const concated = arr1.concat(arr2);
console.log(concated);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 3, 4, 5, 6];
join
join 은 배열 안의 값들을 문자열 형태로 합쳐줍니다.
const array = [1, 2, 3, 4, 5];
console.log(array.join()); // 1,2,3,4,5
console.log(array.join(' ')); // 1 2 3 4 5
console.log(array.join(', ')); // 1, 2, 3, 4, 5
reduce
reduce 함수는 잘 사용 할 줄 알면 정말 유용한 내장 함수이다.
만약 주어진 배열에 대하여 총합을 구해야하는 상황이 왔다면 이렇게 구현을 할 수 있다.
const numbers = [1, 2, 3, 4, 5];
let sum = 0;
numbers.forEach(n => {
sum += n;
});
console.log(sum);
여기서 sum 을 계산하기 위해서 사전에 sum 을 선언하고 forEach를 통해서 계속해서 덧셈을 해주었는데, reduce 함수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구현 할 수 있다.
const numbers = [1, 2, 3, 4, 5];
let sum = numbers.reduce((accumulator, current) => accumulator + current, 0);
console.log(sum);
reduce 함수에는 두개의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첫번째 파라미터는 accumulator 와 current 를 파라미터로 가져와서 결과를 반환하는 콜백함수이고, 두번째 파라미터는 reduce 함수에서 사용 할 초깃값이다.
여기서 accumulator 는 누적된 값을 의미한다.
const numbers = [1, 2, 3, 4, 5];
let sum = numbers.reduce((accumulator, current) => {
console.log({ accumulator, current });
return accumulator + current;
}, 0);
console.log(sum);
위 코드의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const superheroes = ["아이언맨", "캡틴 아메리카", "토르", "닥터 스트레인지"];
const superheroes = ["아이언맨", "캡틴 아메리카", "토르", "닥터 스트레인지"];
for (let i = 0; i < superheroes.length; i++){
console.log(superheroes[i]);
}
const superheroes = ["아이언맨", "캡틴 아메리카", "토르", "닥터 스트레인지"];
superheroes.forEach(hero => {
console.log(hero);
});
const array = [1, 2, 3, 4, 5, 6, 7, 8];
const array = [1, 2, 3, 4, 5, 6, 7, 8];
const squared = [];
for (let i = 0; i < array.length; i++) {
squared.push(array[i] * array[i]);
};
console.log(squared);
const array = [1, 2, 3, 4, 5, 6, 7, 8];
const squared = [];
array.forEach( n => {
squared.push( n * n );
});
console.log(squared);
const array = [1, 2, 3, 4, 5, 6, 7, 8];
const square = n => n * n;
const squared = array.map(square);
console.log(squared);
const superheroes = ["아이언맨", "캡틴 아메리카", "토르", "닥터 스트레인지"];
const superheroes = ["아이언맨", "캡틴 아메리카", "토르", "닥터 스트레인지"];
const index = superheroes.indexOf("토르");
console.log(index);
하지만, 배열 안에 있는 값이 객체이거나, 배열이라면 indexOf로 찾을 수 없다.
const todos = [
{
id: 1,
text: '자바스크립트 입문',
done: true
},
{
id: 2,
text: '함수 배우기',
done: true
},
{
id: 3,
text: '객체와 배열 배우기',
done: true
},
{
id: 4,
text: '배열 내장함수 배우기',
done: false
}
];
const todos = [
{
id: 1,
text: '자바스크립트 입문',
done: true
},
{
id: 2,
text: '함수 배우기',
done: true
},
{
id: 3,
text: '객체와 배열 배우기',
done: true
},
{
id: 4,
text: '배열 내장함수 배우기',
done: false
}
];
const index = todos.findIndex(todo => todo.id === 3);
console.log(index);
const todos = [
{
id: 1,
text: '자바스크립트 입문',
done: true
},
{
id: 2,
text: '함수 배우기',
done: true
},
{
id: 3,
text: '객체와 배열 배우기',
done: true
},
{
id: 4,
text: '배열 내장함수 배우기',
done: false
}
];
const todo = todos.find(todo => todo.id === 3);
console.log(todo);
{id: 3, text: "객체와 배열 배우기", done: true}
const todos = [
{
id: 1,
text: '자바스크립트 입문',
done: true
},
{
id: 2,
text: '함수 배우기',
done: true
},
{
id: 3,
text: '객체와 배열 배우기',
done: true
},
{
id: 4,
text: '배열 내장함수 배우기',
done: false
}
];
const tasksNotDone = todos.filter(todo => todo.done === false);
console.log(tasksNotDone);
[
{
id: 4,
text: '배열 내장 함수 배우기',
done: false
}
];
const numbers = [10, 20, 30, 40];
const numbers = [10, 20, 30, 40];
const index = numbers.indexOf(30);
numbers.splice(index, 1);
console.log(numbers);
const numbers = [10, 20, 30, 40];
const sliced = numbers.slice(0, 2); // 0부터 시작해서 2전까지
console.log(sliced); // [10, 20]
console.log(numbers); // [10, 20, 30, 40]
const numbers = [10, 20, 30, 40];
const value = numbers.shift();
console.log(value);
console.log(numbers);
10
[20, 30, 40]
const numbers = [10, 20, 30, 40];
const value = numbers.pop();
console.log(value);
console.log(numbers);
40
[10, 20, 30]
const numbers = [10, 20, 30, 40];
numbers.unshift(5);
console.log(numbers);
[5, 10, 20, 30, 40]
const arr1 = [1, 2, 3];
const arr2 = [4, 5, 6];
const concated = arr1.concat(arr2);
console.log(concated);
[1, 2, 3, 4, 5, 6];
const array = [1, 2, 3, 4, 5];
console.log(array.join()); // 1,2,3,4,5
console.log(array.join(' ')); // 1 2 3 4 5
console.log(array.join(', ')); // 1, 2, 3, 4, 5
const numbers = [1, 2, 3, 4, 5];
let sum = 0;
numbers.forEach(n => {
sum += n;
});
console.log(sum);
const numbers = [1, 2, 3, 4, 5];
let sum = numbers.reduce((accumulator, current) => accumulator + current, 0);
console.log(sum);
const numbers = [1, 2, 3, 4, 5];
let sum = numbers.reduce((accumulator, current) => {
console.log({ accumulator, current });
return accumulator + current;
}, 0);
console.log(sum);
배열을 처음부터 끝까지 반복하면서 우리가 전달한 콜백 함수가 호출이 되는데, 가장 처음에 accumulator 값이 0 이다. 이 값이 0 인 이유는 우리가 두번째 파라미터인 초깃값으로 0을 설정했기 때문이다.
처음 콜백 함수가 호출되면, 0 + 1 을 해서 1이 반환된다. 이렇게 1이 반환되면 그 다음 번엔 콜백함수가 호출 될 때 accumulator 값으로 사용된다.
콜백함수가 두번째로 호출 될 땐 1 + 2 를 해서 3이되고, 이 값이 세번째로 호출될 때의 accumulator 값이 된다.
그래서 쭉 누적되서 결과물 15가 나타나는 것이다.
reduce를 사용해서 평균도 계산 할 수 있다. 평균을 계산하려면, 가장 마지막 숫자를 더하고 나서 배열의 length 로 나누어주어야 한다.
const numbers = [1, 2, 3, 4, 5];
let sum = numbers.reduce((accumulator, current, index, array) => {
if (index === array.length - 1) {
return (accumulator + current) / array.length;
}
return accumulator + current;
}, 0);
console.log(sum);
결과는 3이 된다.
위 코드의 reduce 에서 사용한 콜백함수에서는 추가 파라미터로 index 와 array 를 받아왔다. index 는 현재 처리하고 있는 항목이 몇번째인지 가르키고, array 는 현재 처리하고 있는 배열 자신을 의미한다.
Author And Source
이 문제에 관하여([JS] 009 배열 내장함수), 우리는 이곳에서 더 많은 자료를 발견하고 링크를 클릭하여 보았다 https://velog.io/@frontjsw/JS-009-배열-내장함수저자 귀속: 원작자 정보가 원작자 URL에 포함되어 있으며 저작권은 원작자 소유입니다.
우수한 개발자 콘텐츠 발견에 전념 (Collection and Share based on the CC Protoc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