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web 15. 웹 호스팅

웹 호스팅

웹사이트를 만들었을때 배포를 하기위해선 Domain이 필요하다.

Domain이 생기면 DNS(Domain Name Sever) 에 자신의 Domain을 등록을 해야한다.

등록을 하고나면 Public IP(고정 IP)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개인PC가 가지고있는 IP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가 제공한 동적 IP(매번 바뀔 수 있음)이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PC를 서버로 돌려서는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고, 프라이빗 IP이기 때문에 외부에서의 접속이 불가능하다.

Public IP는 어떻게 얻을까?

Public IP를 얻기 위해선 웹 호스팅을 해야 한다.

웹 호스팅이란?

Public IP의 특정 대역대를 획득하여 할당을 해주는 회사가 있다. 이러한 회사에서 컴퓨터를 임대 하는 개념이다.

옛날엔 실질적(물리적)으로 컴퓨터를 임대했다.
임대한 컴퓨터에 본인의 웹서버를 올리고 획득한 Public IP와 Domain을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현대에서는 가상화 기술이 발달하여 가상의 머신을 임대하는 형태가 되었다.

이 것을 바로 IaaS(Infrastructure-as-a-service)이다.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라고도 불린다.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는 IaaS말고도 PaaS(Platform-as-a-Service) 가 있다.
IaaS와는 달리 자원이 아닌 플랫폼만 빌려서 웹서비스를 하는 방식 이다.

  • IaaS는 빌린사람의 입맛대로 다 조절할 수 있지만, 모든걸 다 알아서 해야되기 때문에 할일이 많아진다.

  • PaaS의 경우 플랫폼만 이용하기 때문에 좀 더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해당 플랫폼이 제공하는 서비스 외에는 구현할 수 가 없다.

이 외에도 SaaS(Software-as-a-Service)가 있다.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며 Google Drive를 서비스형태로 웹으로 접근해서 사용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Heroku

PaaS를 제공하는 회사로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어서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무료버전이 있어서 개발 테스트용으로 이용하기 좋다.

https://signup.heroku.com/

로그인 후 오른쪽에 Documentation 클릭

Get start를 눌리고 GO언어를 지정해 준다.

heroku 설치하기

인스톨 완료후 커멘드창을 띄워서 heroku login 입력 후 enter를 한번 더 누르면 로그인 창이 뜬다.

로그인 클릭 후 브라우져를 닫으면 로그인 완료

커멘드창에 그대로 입력

go-getting-started 파일이 생성됨


커멘드창에 그대로 입력


git 에 푸쉬하여 연동 시킴

위의 커멘드를 입력하면

go-getting-started 파일이 실행 되는것을 볼 수 있다.

위의 커멘드로 로그 확인 가능

로그 결과

heroku ps를 입력하면 현재 서버의 상세를 볼 수 있다.
free서버이기 때문에 하나의 서버만 돌아 가고 있다.

서버의 숫자를 늘리고 싶을 때

hroku ps:scale web=갯수

위의 커멘드 입력한다.
하지만 결재가 안된 상태에선 불가능 하다.

좋은 웹페이지 즐겨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