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6. 함수 기초 (1)
왜 날이 갈수록 더 피곤해지는지는 모르겠다만..
코로나가 낫는지 안낫는지 도무지 모르겠다
아예 아무것도 안하기에는 너무 불안해서 아픈 몸 이끌고 공부하러..
어제부터 오늘까지는 파이썬 기본이니 부담없이 해야겠당ㅎ
6.1 내장함수와 메서드
6.1.1 내장함수
- 함수 : 처리를 저일한 프로그램
- 내장함수 : 파이썬에 미리 정의된 함수
ex) print(), type(), int(), str(), len() 등 - 객체(object) : 변수에 할당할 수 있는 요소
- 인수 : 대입되는 값
6.1.2 메서드
- 메서드 : 어떠한 값에 대한 처리를 하는 것
'값.메서드명()'
ex)
alphabet = ["a","b","c","d","e"]
alphabet.append("F")
print(alphabet)
##output :
['a','b','c','d','e','F']
6.1.3 문자열형 메서드(upeer, count)
- upper() : 모든 문자열을 대문자로 반환하는 메서드
- count() : () 속에 들어있는 문자열에 요소가 몇 개 포함되어 있는지 알려주는 메서드
변수.upper()
변수.count("객체")
city = "Tokyo"
print((city.upper())
print(city.count("o"))
##output :
TOKYO ##upper메서드를 통해 대문자로 바뀌었으므로
2 ##count메서드를 통해 문자 o의 개수를 카운트한다.
6.1.4 문자열형 메서드(format)
- format() : 임의의 값을 대입한 문자열을 생성할 수 있다.
- 문자열에 변수를 삽입할 때 자주 사용
- 문자열 내애 {} 를 삽입
- {} 안에 그 값이 들어간다.
print("나는 {}에서 태어나 {}에서 유년기를 보냈습니다.".format("서울","광명시"))
##output :
나는 서울에서 태어나 광명시에서 유년기를 보냈습니다.
6.1.5 리스트형 메서드(index)
- 5장의 리스트에는 인덱스 번호가 존재한다.
- 인덱스 번호는 리스트 내용을 0부터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의 번호이다.
- 객체의 인덱스 번호를 찾는 용도의 index() 메서드가 제공
- 리스트형에서도 앞서 다룬 count() 메서드 사용
alphabet = ["a","b","c","d"]
print(alphabet.index("a"))
print(alphabet.count("d"))
##output :
0 ##a의 인덱스 번호 0을 출력
2 ##d가 alphabet내에서 2번 언급
6.1.6 리스트형 메서드(sort)
- sort() 메서드를 사용하면 리스트를 오름차순으로 정렬
- reverse() 메서드를 사용하면 리스트의 요소 순서를 반대로 출력
list = [1,10,2,20]
list.sort()
print(list)
##output :
[1,2,10,20]
##list.sort()를 이용하여 오름차순 정렬
6.2 함수
6.2.1 함수 작성
- 함수 : 프로그램의 여러 처리를 하나로 정리한 것
- 함수를 사용하면 전체적인 동작이 알기 쉬워지고, 동일한 처리를 여러번 작성하지 않아도 됨
1) 함수 작성법 :
def 함수명(인수) :
2) 함수 호출법 :
함수명()
##문제 : "홍길동입니다." 라고 출력하는 함수 introduce를 작성하라.
출력은 print()함수를 사용하라.
sol)
def introudce() :
print("홍길동입니다."
6.2.2 인수
- 인수 : 함수에 전달하는 값을 인수라고 한다.
- 함수는 인수를 받아서 그 값을 사용한다.
1) 인수가 하나인 함수 예제 :
def introduce(n) :
print(n+"입니다.")
##함수 선언
introduce("홍길동")
##함수호출
##output :
홍길동입니다.
2) 인수 n을 세제곱한 값을 출력하는 함수 cube_cal을 작성하라.
def cube_cal(n) :
print(n**3)
cube_cal(4)
##output : 64 (4*4*4)
6.2.3 복수 개의 인수
- 복수 개의 인수를 전달하려면 함수의 인수를 넣는 () 속 쉼표로 구분하여 지정
6.2.4 인수의 초깃값
- 인수에 초깃값을 설정 가능
'함수명(인수)' , 인수 = 초깃값
ex) 인수의 초깃값 예 :
def introduce (first = "김", second = "길동") :
print("성은" + first + "이고 ," + "이름은 " + second + "입니다.")
introduce ("홍")
##output :
성은 홍이고 , 이름은 길동입니다.
6.2.5 return
- 함수는 반환값을 설정하여 함수를 호출한 곳으로 그 값을 되돌린다.
'return 반환값'
def introduce (first = "김", second = "길동") :
return ("성은" + first + "이고 , 이름은" + second+ "입니다."
print(introudce("홍"))
#output :
성은 홍이고, 이름은 길동입니다.
혹은
def introudce (first = "김", second = "길동") :
comment = "성은" + first + "이고, 이름은" + second + "입니다."
return comment
print(introduce("홍"))
#output :
성은 홍이고 이름은 길동입니다.
6.2.6 함수 임포트(가져오기)
- 직접 만든 함수 외에도 일반에 공개된 함수를 import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 유사한 용도끼리 셋으로 공개되어 있으며 이를 패키지라고 부름
- 패키지 속 하나하나의 함수를 모듈이라고 지칭
import time
##time 패키지를 불러온다.
now_time = time.time()
##time 모듈을 사용하여 현재 시간을 now_time에 대입한다.
print(now_time)
##현재 시간 출력
- from 패키지명 import 모듈명
으로 import하면 패키지명을 생략하고 모듈명만으로 모듈을 사용 가능
from time import time
now_time = time()
Author And Source
이 문제에 관하여(Chapter 6. 함수 기초 (1)), 우리는 이곳에서 더 많은 자료를 발견하고 링크를 클릭하여 보았다 https://velog.io/@thditkfkd/Chapter-6.-함수-기초-1저자 귀속: 원작자 정보가 원작자 URL에 포함되어 있으며 저작권은 원작자 소유입니다.
우수한 개발자 콘텐츠 발견에 전념 (Collection and Share based on the CC Protoc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