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펙티브 자바 아이템2 용어 정리
Telescoping Constructor Pattern ( 점층적 생성자 패턴 )
- 받는 파라미터를 하나씩 늘려가며 생성자를 만드는 패턴이다.
- 이 방식은 직관적으로 별로다.
public class Test{
private final String fieldA;
private String fieldB;
private String fieldC;
private String fieldD;
public Test(String fieldA){ ... }
public Test(String fieldA, String fieldB){ ... }
public Test(String fieldA, String fieldB, String fieldC){ ... }
public Test(String fieldA, String fieldB, String fieldC, String fieldD){ ... }
}
실수로 매개변수의 순서를 바꿔 건네줘도 컴파일러는 알아채지 못하고, 결국 런타임에 엉뚱한 동작을 하게 된다.
- 같은 타입의 파라미터를 두 개 가진 생성자를 호출 할 때, 순서를 착각하고 생성하면 의도와는 다른 결과가 나온다
public class Test{
private String fieldA;
private String fieldB;
public Test(String fieldA, String fieldB){ ... }
}
Test test = new Test(fieldB, fieldA); // 두 인자의 순서가 바뀜 하지만 컴파일 오류는 없음
JavaBeans Pattern ( 자바 빈즈 패턴 )
- 매개변수가 없는 생성자로 객체를 만든 후, setter method들을 호출해 원하는 매개변수의 값을 설정하는 방식
- 이 방식은 객체를 하나 만드려면 method를 여러개 호출 해야한다.
- 객체가 완전히 만들어지기 전까진 일관성(consistency)이 무너진 상태에 놓이게 된다.
- 일관성이 무너지는 이슈로 class를 불변으로 만들 수 없다.
public class Test{
private String fieldA;
private String fieldB;
public Test(){ ... };
public void setFieldA(String fieldA){ ... }
public void setFieldB(String fieldB){ ... }
}
Test test = new Test();
test.setFieldA("");
test.setFieldB("");
Builder Pattern ( 빌더 패턴 )
- 필수 매개변수만으로 생성자를 호출해 빌더 객체를 얻는다.
- 빌더 객체가 제공하는 method들로 원하는 매개변수를 선택한다.
- 최종적으로 빌더 객체의 builder()로 객체를 얻는다.
public class NutritionFacts {
private final int servingSize;
private final int servings;
private final int calories;
private final int fat;
private final int sodium;
private final int carbohydrate;
public static class Builder {
private final int servingSize;
private final int servings;
private int calories = 0;
private int fat = 0;
private int sodium = 0;
private int carbohydrate = 0;
public Builder(int servingSize, int servings) {
this.servingSize = servingSize;
this.servings = servings;
}
public Builder calories(int val) {
calories = val;
return this;
}
public Builder fat(int val) {
fat = val;
return this;
}
public Builder sodium(int val) {
sodium = val;
return this;
}
public Builder carbohydrate(int val) {
carbohydrate = val;
return this;
}
}
public NutritionFacts(Builder builder) {
this.servingSize = builder.servingSize;
this.servings = builder.servings;
this.calories = builder.calories;
this.fat = builder.fat;
this.sodium = builder.sodium;
this.carbohydrate = builder.carbohydrate;
}
}
fluent API(플루언트 API) 또는 method chaning(메서드 연쇄)
- 여러 메소드를 이어서 호출하는 문법
- 메소드가 객체(주로 this)를 반환함으로써 가능하게 됨
- 메서드가 객체를 반환하게 되면, 메서드의 반환 값인 객체를 통해 또 다른 함수를 호출할 수 있습다.
simulated self-type idiom (시뮬레이트한 셀프 타입 관용구)
- 상속받은 객체의 method를 override해서 자기 자신(this)를 반환하도록 하는 방법
public class SimulatedSelfTypeIdiomTest {
public static abstract class Pizza {
public enum Topping {HAM, MUSHROOM, ONION, PEPPER, SAUSAGE}
final Set<Topping> toppings;
abstract static class Builder<T extends Builder<T>> {
EnumSet<Topping> toppings = EnumSet.noneOf(Topping.class);
public T addTopping(Topping topping) {
toppings.add(Objects.requireNonNull(topping));
return self();
}
abstract Pizza build();
// sub class는 이 method를 overriding하여
// "this"를 반환하도록 해야 한다.
protected abstract T self();
}
Pizza(Builder<?> builder) {
// 불변식 보장을 위해 매개변수 복사
toppings = builder.toppings.clone();
}
}
public static class NYPizza extends Pizza {
public enum Size {SMALL, MEDIUM, LARGE}
private final Size size;
public static class Builder extends Pizza.Builder<Builder> {
private final Size size;
public Builder(Size size) {
this.size = Objects.requireNonNull(size);
}
@Override
public NYPizza build() {
return new NYPizza(this);
}
@Override
protected Builder self() {
return this;
}
}
private NYPizza(Builder builder) {
super(builder);
size = builder.size;
}
}
}
covariant return typing (공변 반환 타이핑)
- overriding을 한 method의 반환타입이 sub class의 method가 정의한 타입으로 반환하는 기능이다.
protected abstract T self();
@Override
protected Builder self() {
return this;
}
Author And Source
이 문제에 관하여(이펙티브 자바 아이템2 용어 정리), 우리는 이곳에서 더 많은 자료를 발견하고 링크를 클릭하여 보았다 https://velog.io/@nnagman/이펙티브-자바-아이템2-용어-정리저자 귀속: 원작자 정보가 원작자 URL에 포함되어 있으며 저작권은 원작자 소유입니다.
우수한 개발자 콘텐츠 발견에 전념 (Collection and Share based on the CC Protoc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