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LI 환경과 유닉스
🔗 유닉스 커맨드 라인
GUI vs CLI
- CLI는 그래픽 없이 글자만 나타내기 때문에 GUI보다 성능이 뛰어나다.
- GUI에서 파일 설치 등 여러 단계를 거치는 경우를 CLI에서는 한 줄의 커맨드로 명확하게 표현할 수도 있다.
👉 처음에는 CLI가 배우기 어렵지만, 익숙해지면 더 단순하고 정확한 사용이 가능하다.
환경 설정
- 윈도우 환경에서 유닉스 운영 체제를 사용하려면 가상 머신을 통해 새로운 운영 체제를 설치해야 한다.
1. VirtualBox 설치
- VirtualBox 설치

2. ubuntu 설치
- ubuntu에서
.iso 파일 다운로드

3. 가상 머신 생성
- VirtualBox에서
새로 만들기
- 이름 및 운영체제 설정
- 이름은 아무거나 설정 가능

💡 64 비트 운영체제가 안 보일 때
🔗 여기 참고
- 나는 HP 노트북이어서 재부팅하면서
F9로 CMOS에 진입했다.
- 이것저것 돌아다니다가 Virtualization 이런 느낌의 메뉴가 Disabled 되어 있길래 설정을 바꾸고
F10을 눌러 저장한 뒤 부팅했더니 해결되었다.
- 메모리 크기 설정
- 넉넉하게 4 GB(4096 MB)로 설정

- 하드 디스크 설정
- 하드 디스크 파일 종류 및 작동 방식 설정
- 파일 위치 및 크기 설정
- 넉넉하게 20 GB로 설정

4. 가상 머신에 ubuntu 설치
[광학 드라이브] 비어 있음 - 디스크 이미지 선택

추가 - 다운로드 받은 ubunto .iso 파일 선택
시작 클릭
Install Ubuntu 클릭

Continue 등 눌러서 계속 뒤로 넘어가기
- 사용자 계정 생성 창에서 만든 이름과 비밀번호 기억하기
- 이후 ubuntu에 로그인할 때 사용
5. VirtualBox 화면 조정 문제 해결
- 창 크기를 늘려도 화면 크기는 그대로 작은 문제 해결하기
장치 - 게스트 확장 CD 이미지 삽입

Run 클릭

- 비밀번호 입력 후
Authenticate 클릭

Press Return to close this window...가 뜨면 Enter 입력

💡 위처럼 했는데도 적용이 안 되는 경우
왜 한번에 되는 게 없지
🔗 여기 참고
1. ubuntu 창 종료
2. VirtualBox - 설정 - 디스플레이
3. 그래픽 컨트롤러를 VBoxVGA로 변경
4. 다시 ubuntu를 실행하여 확인
6. 터미널 실행
- 왼쪽 아래 정사각형 모양 점점점 클릭하여
terminal 검색 후 실행

bono@bono_VirtualBox에서 bono는 사용자 이름, bono_VirtualBox는 컴퓨터 이름
인자와 옵션
clear: 터미널 내용 지우기
date: 현재 시간과 날짜 출력

cal(calendar): 이번달 달력 출력

1. 인자
- 명령어에 인자(argument)를 전달하여 원하는 값을 전달할 수 있다.
- 아래와 같이
cal에 인자 2030을 전달하여 2030년 달력을 출력할 수 있다.
- 아래처럼 인자를 여러 개 전달할 수도 있다.

2. 옵션
- 명령어와 옵션(option)을 함께 사용하여 명렁어의 작동 방식을 지정할 수 있다.
- 아래처럼
cal에 -y 옵션을 지정하여 올해 달력을 출력할 수 있다.

- 옵션에 따라 값을 추가로 전달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 이 값을 옵션의 값(value) 또는 옵션의 인자(argument)라고 한다.
- 아래처럼
cal에 -B 옵션을 사용하고, 옵션의 값으로 2를 전달하여 이전 2개월의 달력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 옵션 여러 개를 한번에 사용할 수도 있다.

cal에 -j 옵션을 사용하면 1월 1일을 기준으로 몇 번째 날짜인지를 표시한다.

- 하이픈(
-) 하나 뒤에 여러 옵션을 한번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전과 같은 결과 출력)

- 이렇게 사용하려면 옵션의 순서에 유의해야 한다.
- 아래와 같이 실행하면
-B의 옵션으로 j가 들어간다는 뜻이 되는데, 오류로 인해 무시된다.
- 결국
2는 cal의 첫 번째 인자인 연도로 인식되어 2년의 달력이 출력된다.

3. 인자 vs 옵션
- 형식적인 측면:
-(하이픈)이 여부로 구분
- 의미적인 측면: 인자는 커맨드가 작동할 대상을 지정하고, 옵션은 커맨드의 작동 방식을 지정한다.
커맨드 매뉴얼
man [커맨드명]
-
space: 아래로 한 페이지 이동
-
b(backward): 위로 한 페이지 이동
-
q(quit): 나가기

-
섹션, 매뉴얼 이름 (위 그림에서 빨간 선 윗부분)
DATE(1)은 Date 커맨드 매뉴얼의 1번 섹션이라는 뜻
- 1번 섹션은 General commands로, 대부분의 명령어들이 여기에 속한다.
-
NAME: 커맨드 이름과 간단한 설명
-
SYNOPSIS: 커맨드를 사용하는 형식
-
DESCRIPTION: 커맨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각 옵션 설명
Author And Source
이 문제에 관하여(1. CLI 환경과 유닉스), 우리는 이곳에서 더 많은 자료를 발견하고 링크를 클릭하여 보았다
https://velog.io/@chez_bono/1.-CLI-환경과-유닉스
저자 귀속: 원작자 정보가 원작자 URL에 포함되어 있으며 저작권은 원작자 소유입니다.
우수한 개발자 콘텐츠 발견에 전념
(Collection and Share based on the CC Protocol.)
👉 처음에는 CLI가 배우기 어렵지만, 익숙해지면 더 단순하고 정확한 사용이 가능하다.

.iso 파일 다운로드
새로 만들기- 이름은 아무거나 설정 가능

💡 64 비트 운영체제가 안 보일 때
🔗 여기 참고
- 나는 HP 노트북이어서 재부팅하면서
F9로 CMOS에 진입했다. - 이것저것 돌아다니다가 Virtualization 이런 느낌의 메뉴가 Disabled 되어 있길래 설정을 바꾸고
F10을 눌러 저장한 뒤 부팅했더니 해결되었다.
- 나는 HP 노트북이어서 재부팅하면서
- 넉넉하게 4 GB(4096 MB)로 설정

- 넉넉하게 20 GB로 설정

[광학 드라이브] 비어 있음 - 디스크 이미지 선택
추가 - 다운로드 받은 ubunto .iso 파일 선택시작 클릭Install Ubuntu 클릭
Continue 등 눌러서 계속 뒤로 넘어가기- 이후 ubuntu에 로그인할 때 사용
장치 - 게스트 확장 CD 이미지 삽입
Run 클릭
Authenticate 클릭
Press Return to close this window...가 뜨면 Enter 입력
💡 위처럼 했는데도 적용이 안 되는 경우
왜 한번에 되는 게 없지
🔗 여기 참고
1. ubuntu 창 종료
2. VirtualBox - 설정 - 디스플레이
3. 그래픽 컨트롤러를 VBoxVGA로 변경
4. 다시 ubuntu를 실행하여 확인
terminal 검색 후 실행
bono@bono_VirtualBox에서 bono는 사용자 이름, bono_VirtualBox는 컴퓨터 이름clear: 터미널 내용 지우기date: 현재 시간과 날짜 출력
cal(calendar): 이번달 달력 출력
cal에 인자 2030을 전달하여 2030년 달력을 출력할 수 있다.

cal에 -y 옵션을 지정하여 올해 달력을 출력할 수 있다.
- 이 값을 옵션의 값(value) 또는 옵션의 인자(argument)라고 한다.
- 아래처럼
cal에-B옵션을 사용하고, 옵션의 값으로 2를 전달하여 이전 2개월의 달력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cal에 -j 옵션을 사용하면 1월 1일을 기준으로 몇 번째 날짜인지를 표시한다.
- 하이픈(
-) 하나 뒤에 여러 옵션을 한번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전과 같은 결과 출력)

- 이렇게 사용하려면 옵션의 순서에 유의해야 한다.
- 아래와 같이 실행하면
-B의 옵션으로j가 들어간다는 뜻이 되는데, 오류로 인해 무시된다. - 결국
2는cal의 첫 번째 인자인 연도로 인식되어 2년의 달력이 출력된다.

-(하이픈)이 여부로 구분man [커맨드명]space: 아래로 한 페이지 이동
b(backward): 위로 한 페이지 이동
q(quit): 나가기

섹션, 매뉴얼 이름 (위 그림에서 빨간 선 윗부분)
DATE(1)은Date커맨드 매뉴얼의1번 섹션이라는 뜻- 1번 섹션은 General commands로, 대부분의 명령어들이 여기에 속한다.
NAME: 커맨드 이름과 간단한 설명
SYNOPSIS: 커맨드를 사용하는 형식
DESCRIPTION: 커맨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각 옵션 설명
Author And Source
이 문제에 관하여(1. CLI 환경과 유닉스), 우리는 이곳에서 더 많은 자료를 발견하고 링크를 클릭하여 보았다 https://velog.io/@chez_bono/1.-CLI-환경과-유닉스저자 귀속: 원작자 정보가 원작자 URL에 포함되어 있으며 저작권은 원작자 소유입니다.
우수한 개발자 콘텐츠 발견에 전념
(Collection and Share based on the CC Protoc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