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mage placeholder
  • 홈 페이지
  • 블로그 센터
  • 범주
Image placeholder

제어의역전

DI & IoC & Bean

객체를 직접 생성하는 게 아니라 외부에서 생성한 후 주입 시켜주는 방식이다. 첫번째 방법은 A객체가 B와 C 객체를 New 생성자를 통해 직접 생성하는 방법이고, 두번째 방법은 외부에서 생성된 객체를 setter()를 통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바로 이 두번째 방법이 의존성 주입의 예시인데, A 객체에서 B, C 객체를 사용(의존)할 때 A 객체에서 직접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IOC컨테이...

의존성Spring제어의역전IoC의존성주입beanIoC

Spring (2) - IoC에 대하여

객체의 생명주기(생성-설정-초기화-소멸)부터 생명주기의 관리를 개발자가 아닌 스프링 프레임워크로 모든 객체에 대한 제어권이 바뀐, 즉 주체가 되어 담당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제어의 역전(IoC)은 메서드나 객체의 호출을 개발자가 결정하는 것이 아닌 외부에서 결정되는 것을 의미하며, 줄여서 제어의 흐름을 바꾼다는 뜻으로도 볼 수 있겠습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각 객체마다 자기의 역할과 ...

Inversion Of ControlSpring제어의역전IoC스프링Inversion Of Control

© 2022 intrepidgeeks.com

Privacy Policy Contact US Sitemap
🍪 This website uses cookies to ensure you get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Learn more